d라이브러리
"세대"(으)로 총 2,4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을 좋아하고 싶어 수학 노래 만들었어요! 썬더 드래곤 & 상상이상이상길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활용한 노래나 다른 느낌의 여러 음악을 합쳐서 노래를 만드는 음악 크리에이터예요.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학생이기도 해요.‘수학아 사랑해’와 새로 작곡한 원주율 비트로 와 함께 2023 세계 수학의 날 이벤트를 합니다. 2022년 파이송 챌린지에 쓰인 노래 ‘파이송’을 만들기도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띈 입자를 넣으면 입자가 빠른 속도로 가속관을 빠져나가는 것이 가속기의 원리다. 차세대 중이온가속기의 트렌드는 가속기의 크기를 작게 줄이면서 더 많이 가속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라온의 가속모듈 안에는 볼펜 하나 정도 길이의 가속관이 들어있다. 여기에 걸리는 전압이 1.5MV(메가볼트)에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입니다. 탄소 양자점 기술이 실제 환자들의 건강한 삶을 돕는 차세대 의료 기술로 거듭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권우성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부교수. 2010년 POSTECH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2013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미국 ... ...
- [뉴스&인터뷰] “글과의 거리두기, 드디어 끝났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냉동인간이 깨어났다. 정순영이란 이름을 가진 그녀는 ‘할머니’다. 정순영이 깨어나 만난 이는 그녀가 낳은 딸의 딸 그리고 그 딸의 딸이 대를 거듭해 내려 ... 돌봄이란 단어를 확장해서 쓰면 이 간극을 메우고 모두가 돌봄에 종사하는 새로운 세대를 탄생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
- 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방법입니다. 저는 이것들이 가까운 미래에 해결될 거라고 믿습니다. 우리의 다음 세대는 깨끗한 에너지를 즐길 겁니다. 물리는 에너지가 어디에서 오고, 어디로 가고, 물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입니다. 물론 물리는 어렵지만, 어렵기 때문에 도전할 만하고 또 보람도 크다고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반도체 클러스터’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일대 약 415만m²(126만평) 규모로 지어지는 차세대 첨단 반도체 생산 기지다. 국가 버팀목 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대기업-중소기업이 상생하며 건전한 산업경쟁력을 갖추려는 목 적으로 설립된다. SK하이닉스가 약 120조원을 투자해 ... ...
- [Rethinking] 세 번째 질문, x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인문학자 : 역사적으로 보면 x가 없었던 시기가 분명히 있고 우리는 x 이후의 세대를 살고 있는 거니까 x가 없던 시절을 보면 되지요. 먼저 x의 사용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모르는 것에 대한 탐구, 모르는 값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서 우리가 x라는 값을 구하는 일련의 과정을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목표가 뭔가요? A. 목표는 없고, 큰 꿈은 있습니다. 제 다음 세대, 그다음 세대, 또 그다음 세대까지 계속 이용되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담긴 논문을 쓰는 겁니다. ▲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오른쪽)은 기존 수학자와 다른 사고방식으로 수학의 발전을 이끈 사람이에요. 일본의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2022년 1월 미국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 2022’에서 최초로 상용화 기술을 선보인 차세대 TV, 퀀텀닷 디스플레이는 0차원 나노 물질인 ‘퀀텀닷(양자점)’으로 빛을 냅니다. 퀀텀닷은 무려 스스로 빛을 내는 0차원 반도체 소재입니다.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퀀텀닷이라도 크기에 따라 발광하는 색이 ...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않으면 유전율이 높아진 것이죠. 유전율의 값이 달라지는 것이 ‘0차원 공허’가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기술과 이어질 수 있는 지점이 됩니다. 우리가 기존에 사용하는 메모리는 메모리 소자의 저항 크기를 통해 0과 1을 구분해 두 개의 상태만 있죠. 그런데 이번 연구처럼 각각이 다른 유전율을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