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d라이브러리
"
성층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넣었다.오전 11시 41분 전북 군산시 내흥동에서 출발한 풍선은 30km 상공의 대기권과
성층
권 경계 지점까지 올라갔다가 3시간 30분 뒤인 오후 3시 11분 출발 지점에서 150km 떨어진 경북 의성군 생송리에 떨어졌다. 카메라에는 사진이 888장 촬영됐는데 그중에는 지구의 곡선과 기상 상황이 선명하게 찍힌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옅어지면 자외선이나 우주 방사선 같은 고에너지 복사선이 지표면으로 내려올 것이다.
성층
권의 오존층이 자외선을 막아주고 있지만 오존층의 구멍은 계속해서 넓어지고 있다. 오존층 구멍이 넓은 극지역은 극자외선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도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풍과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내릴 거라며 난리였지만, 워낙 적은 양이 날아와서 큰 피해는 없었어.* 대류권 위쪽이나
성층
권 같은 높은 하늘에서 넓은 범위에 걸쳐 아주 빠르게 흐르는 커다란 바람. 겨울엔 온 지구를 휘감고 흐를 때도 있다. ▲ 화산재를 확대한 모습. 화산재에는 모래 성분인 이산화규소(SiO2)가 많다. 이 때문에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일정하게 유지되는 운동을 한다. 1. 편서풍 파동은 세계 2차 대전 중 대류권 상부와
성층
권 하부를 비행하면서 자료가 모아졌고, 라디오존데의 관측으로 자료가 풍부해지면서 그 모습이 밝혀졌다. 다음은 편서풍이 파동으로 발달하는 과정에 관한 문제들이다. 1) [난이도 상] 지구상의 위도 30°인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화산재의 양이 많을 경우 마이크로미터(㎛, 1㎛=10-6m) 크기의 화산재가 에어로졸 상태로
성층
권에 머물면서 태양복사를 차단해 전 지구적인 화산 재앙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수년 동안 전 세계 곡물 재배에 악영향을 줘 장기간 식량 수급에도 타격을 줄 것이다 ... ...
소리보다 빠른 스카이다이빙 성공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생명을 보호하는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지상 17~50km 사이의
성층
권은 지상보다 혹한의 환경이다. 바움가르트너가 뛰어내릴 지상 36km 상공은 공기가 매우 희박하고 기온도 영하 30~40℃에 불과하다. 특히 낙하할 때 통과해야 하는 지상 2만 5000m 상공은 지구에서 오존 밀도가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예측이 가능한 것일까. 아쉽게도 극진동의 변화에는 대기 내부의 여러 가지 비선형운동,
성층
권과 대류권 사이의 상호 작용, 해빙의 녹음과 해류의 움직임, 에어로졸과 온실가스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예측이 쉽지 않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적도지방의 강력한 대류활동이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한다.야광운이 대류권 위의
성층
권이 아니라 중간권에 생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성층
권은 고도가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반면, 중간권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급격하게 기온이 떨어진다. 즉 중간권은대기 중에서 가장 차가운 층이다.AIM 연구의 총책임자였던 미국 햄프턴대의 제임스러셀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헬륨 가스로 채운 다음, 디지털 카메라를 매달아 하늘에 띄웠다. 풍선은 고도 30km 정도의
성층
권에 도착했고 결국 풍선을 이용해 지구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다. 하늘을 나는 일 외에도 풍선으로 이룰 수 있는 꿈이 있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실제로 의학계에서는 풍선을 이용하는 수술이 이뤄지고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고도 34km까지 먼지 뿜어낸 화산1991년 6월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이 뿜어낸 먼지는
성층
권의 중간에 놓인 오존층을 뚫고 34km나 치솟아 올랐다. 과학자들은 지구 주위를 여러 차례 도는 피나투보의 먼지를 인공위성으로 추적하기도 했다. 화산은 수십억t의 용암과 함께 수십km3의 화산재(화산 쇄설물 중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