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물
에콜로지
환경학
d라이브러리
"
생태학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일치한다.물론 산소 포화도가 곤충의 몸집을 좌지우지한 전부는 아니다. 일본 도호쿠대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오카지마 료코 박사팀이 산소 분압으로 예측한 과거의 곤충 크기와 실제 곤충의 화석을 비교한 결과, 이론으로 예측한 것보다 실제 곤충 화석의 최대 크기가 작다는 것을 발견했다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고래가 주변을 지나고 있는지 분석한다. 자료는 부표를 거쳐 인공위성을 통해 WHOI의 해양
생태학
연구실 컴퓨터로 전송된다. 실제로 홈페이지에서 특정 해역에 어떤 고래가 지나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OI는 앞으로 이 정보를 선박과 실시간으로 공유해 배의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하게 해 고래가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전체의 단풍 현상을 관측한다. 미국의 하버드 삼림’이 대표적이다. 미국 하버드대가
생태학
적 연구를 목적으로 관리하는 하버드 삼림에는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박창균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단풍 관측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눈’ 관점은 1976년 리처드 도킨스가 저술한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크게 발전해 행동
생태학
의 전분야를 통합하는 중심 이론으로 자리잡았다.공정하게 말하면 이렇다. 해밀턴이 ‘유전자의 눈’ 관점의 씨앗을 심었다면, 도킨스는 이를 거목으로 뿌리내리게 했다.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가 ... ...
[과학뉴스] 기생충에 기생하기, 비결은 ‘효율’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단계가 높아질수록 영양흡수효율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엑세터대
생태학
센터 더크 샌더스 연구원팀은 초과포식기생충(hyperparasitoid)인 기생말벌종을 연구해 이 를 밝혔다. 다른 개체의 몸 안에서 성장해 최종적으로 숙주를 죽이는 기생충을 포식기생충이라고 하는데, 이 포식기생충에 다시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
생태학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식물만을 키우지만, 이곳에서는 수십 가지의 다양한 식물과 곤충을 키우고 있습니다.화학
생태학
연구소와 5 분 거리에 있는 생지화학연구소(Biogeochemistry)와, 인접한 휴먼히스토리연구소(Science of human history)도 흥미롭습니다. 생지화학연구소에서는 기후변화로 생물이 변하는 모습을 추적합니다. 대기 ... ...
[지식] 최도훈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생각했었어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학
에 관심이 있어서
생태학
과 밀접한 통계학을 공부해봤는데 재미가 없더라고요. 하지만 수학의 유용성은 굉장히 중요해요. 바둑 두는 인공지능에도 수학이 있는 것처럼 수학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으니까요 ... ...
[과학뉴스] 물고기는 왜 자기 알을 먹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야생 동물의 가장 중요한 생존 목표는 번식을 통한 유전자 보전이다. 그런데 어떤 종은 자신의 알이나 새끼를 먹는 행동을 한다. 식량 부족 같은 ... 행동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생태와 진화’ 1월 29일자와 ‘행동
생태학
및사회생물학’ 2월 3일자에 각각 발표됐다 ... ...
[과학뉴스] 오랑우탄 살인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생물 ․ 생명공학오랑우탄 암컷 간에 충격적인 살인사건이 벌어졌다. 영장류 간의 싸움은 대부분 수컷끼리, 큰 상처가 나지 않는 선에서 이뤄진다. 암컷 ... “암컷이 수컷을 구슬려 자신을 돕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행동
생태학
및사회생물학’ 2월 3일자에 실렸다 ... ...
[News & Issue] 핀치새 50년 내 멸종할 수도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생물핀치새 50년 내 멸종할 수도갈라파고스 제도의 핀치새는 진화론의 출발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상징적 존재다. 그런데 이런 핀치새가 빠르면 50년 안에 ... 40%를 없애면 핀치새의 멸종 시기를 60년 가량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응용
생태학
’ 2015년 12월 18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