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사
유사
기업
비슷함
상회
상점
윗사람
d라이브러리
"
상사
"(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SF애니메이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2화 최취병기(Stink Bomb)주인공 다나카는 심한 감기에 걸려 주위 사람들에게 눈총을 받자
상사
의 방에 가서 '샘플' 이라 써있는 약을 감기약으로 알고 먹는다. 그런데 그 약은 다나카의 호흡을 독가스로 만든다. 주위에 있던 사람들이 자신 때문에 죽는지 모르는 다나카는 연구결과를 들고 도쿄로 ... ...
측우기 중국기원설 정면 반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이번에는 중국인들이 측우기가 중국에서 만들어졌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중국기
상사
’라는 책에는 측우기가 아예 표지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이런 일들이 진행되는 것에 대해 우리는 너무 무관심하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나라 학자들이 우리의 과학사를 왜곡하는 일이 진행되고 있다. ... ...
3. 사이버닥터가 진단한 인터넷 신드롬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귀신’ 에게 쫓기는 ‘악몽’ 에 시달리다 겨우 정신을 차리고 출근해서 마주친 직장
상사
의 얼굴이 커다란 모니터 모습으로 보여 가슴이 철렁했다. 컴퓨터 게임에 몰두한 아들을 보는 순간 숨이 가빠지고, 가슴이 뛰며, 이마와 양손에는 식은땀이 흐르더니 “이대로 도태되어 버리는구나…” 고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빠졌다. 회사에서 옆부서에 갔다가 "내가 뭘 하려고 여기 왔지?" 하고 멍하니 서있거나
상사
로부터 금방 지시받은 일을 잊어버려 낭패를 보는 일이 자주 생겼다. 어떤 때는 집 전화번호나 주소가 떠오르지 않았고, 읽기 쉬운 잡지 기사도 잘 이해되지 않았다.처음 몇번은 전날 밤 무리하게 마신 술 ... ...
방황하는 SF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그의 복수심은 곧바로 무서운 집착증세로 돌변한다. 우선 자신을 알아주지 않은 직속
상사
를 고층빌딩에서 떨어뜨려 죽이고, 한때 자신의 우상으로 여겼던 웨인을 복수의 표적으로 삼는다. 자신의 제안을 거절한 웨인을 향해 "천재를 몰라보다니 후회할 걸" 이라고 되뇌는 니그마의 음습한 복수심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흡입행정으로 실린더 내에 휘발유와 공기를 혼합해 넣어주는 과정이다. 피스톤은 맨 위(
상사
점 : top dead center, TDC)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연료를 빨아들인다. 연료가 들어가는 원리는 주사기를 끝까지 밀었다가 다시 당길 때 공기가 들어가는 것과 마찬가지다. 피스톤이 맨 밑(하사점 : bottom dead center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할 부분도 쉽게 처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렇게 쉽고 강력한 기능 덕분에 직장
상사
에게 보고 서를 제출하면 “읽기 쉽게 잘 만들었다” “굉장히 빠르게 만드네” 라는 칭찬을 자주 듣는 편이다.필자는 초창기 버전인 워드5.0부터 이를 쭉 써왔으며, 요즘은 윈도95용인 7.0 버전의 강화된 ... ...
한화통신 대표 강경석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없습니다."백화점식의 품목 나열로는 승부를 낼 수 없다고 판단한 그는 92년 5월 한화
상사
에서 한화통신으로 상호를 변경 한 뒤 통신업에만 전념하는 모뎀전문업체로 변신했다. 작은 규모의 업체는 작은 시장에서라면 얼마든지 대기업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신념이 바탕된 것이다. 긍정적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이같이 해서 얻어진다. 이상의 사실을 알게 되면 자연히 차원의 뜻이 확대된다. 즉 자기
상사
의 도형을 프랙탈이라고 하는데, 이는 분수차원을 갖는다는 뜻이다.이 차원의 정의는 정수차원의 경우를 내포 한다. 비록 정수는 아니지만 이와 같이 일정한 수를 차원으로서 등장시킬 수 있다. 이 사실은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예를 들면 90도)으로 나누어보면 각 영역의 모양이 항상 같다. 이를 '등장변환' '자기
상사
(相似)성'이라 부른다. 결국 조개가 껍데기 내부에서 성장할 때 크기는 변해도 모양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앵무조개의 껍질 속 어느 부분을 잘라도 모양은 똑같다. 자기유사적 성장은 앵무조개만의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