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빈틈"(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서 흥미로운 문제를 발견했어요. 볼록오각형을 겹치지 않게 빈틈 없이 이어 붙여 평면을 다 덮는 ‘테셀레이션’에 관한 것이었죠. 당시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은 8개뿐이었어요. 처음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 5가지를 소개한 독일 수학자 칼 라인하르트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 음색의 마술사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계속 다른 악기가 쌓이기 때문에 단조롭지 않고 오히려 통일감이 느껴집니다. 그야말로 빈틈없이 완벽한 음악입니다. 덕분에 이 곡은 단순한 재료로 최대 효과를 나타내는 곡의 대명사가 되며, 이후 미니멀리즘★이라 불리는 사조에도 영향을 줍니다. 미니멀리즘★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써 보려고요. 지금보다 더 많은 종을 추가하고, 유충과 번데기 단계의 특징까지 추가해 빈틈없는 하늘소 도감을 쓰는 게 꿈이랍니다. 기회가 되면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하늘소 탐사를 해 보고 싶네요. Q. 독자들에게 한마디 해 주세요.곤충 탐사를 좋아하는 친구들은 하늘소도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실 저는 글을 잘 못쓰거든요. 그런데 수학은 수식으로 논리적으로 결론을 내잖아요? 빈틈없는 논리로 결론을 내리는 면이 마음에 들었어요. 수학자가 되기까지 기억에 남는 친구가 있다면서요?대학생 때도 저보다 수학을 잘하는 친구들이 많았어요. 지금은 칠레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하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니기 때문입니다. 정오각형 여러 개를 어떻게 이어 붙여도 360°를 만들 수 없어 평면에 빈틈이 생기지요. 하지만 내각의 크기를 적절히 바꾼 오각형으로는 테셀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왼쪽 그림 ➍번처럼 내각의 크기가 180° 이상인 것을 허용하면 쉽게 테셀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여기서는 ...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실을 밝혔습니다. 라오 박사는 4가지 조건 아래 볼록 오각형이 평면 위에서 빈틈없이 맞닿는 모든 경우의 수를 조사했습니다. 4가지 조건은 모든 내각의 합은 540°일 것, 내각은 모두 테셀레이션 무늬를 이룰 것, 한 꼭짓점에서 만나는 모든 내각의 합이 360°일 것, 다른 볼록 오각형의 모서리에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역시 회반죽으로 빚은 뚜껑으로 관을 닫았다. 개미새끼 한 마리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빈틈없이 만들었다. 가족들은 울음과 함께 관을 땅에 묻었다. 370년이 훌쩍 넘은 최근, 한국 과학자들은 김씨와 정 씨 부인이 어떤 병을 앓았는지 밝혀냈다. 그리고 지금껏 학계에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사실도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보고서를 낼 만큼 일찍부터 준비해왔다. 사람과 사물, 공간 등이 사이버 세계를 매개로 빈틈없이 연결돼 정보 생성이나 수집, 공유, 활용이 수시로 이뤄지는 ‘초연결사회’로의 진화가 가속화될수록 사이버물리시스템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Q. DGIST의 강점은 뭔가.앞으로는 ‘대학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채우는 수가 바로 ‘무리수’다. 실수는 유리수와 유리수보다 더 많은 무리수로 이뤄진 빈틈없는 수 체계다. 실수, 많아도 너무 많아!데데킨트가 유리수와 무리수로 이뤄진 실수의 정체를 파악하고 줄을 세웠다면, 칸토어는 손님의 규모를 호텔의 규모와 비교했다. 그러나 실수를 세는 방법은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건 앞서 배웠다. 어쩌면 이 집합도 조금 작은 무한집합일지 모른다. 게다가 실수가 빈틈없이 조밀했던 수직선과 달리 이 집합에는 실수가 띄엄띄엄 있다. 그래서 실수 조각을 셀 수 있고, 앞에서부터 차례로 세면 2n이라는 정확한 개수가 나온다. 실수 집합보다는 크기가 작고 원소를 셀 수도 있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