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신반의
d라이브러리
"
불안감
"(으)로 총 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엄마가 느낀 공포, 냄새로 유전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박하향을 맡게 했다. 그러자 새끼는 냄새만으로 마치 전기자극을 느끼는 듯 두려움과
불안감
을 나타냈다. 반면 박하향 없이 전기자극만 준 쥐에게선 이런 모습이 나타나지 않았다.연구를 이끈 자세크 데비엑 박사는 “갓 태어난 아기 쥐는 위험한 것이 무엇인지 전혀 알지 못 한다”며 “하지만 어미 ... ...
사카린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동안 먹인 결과 80마리 중 8마리의 쥐에서 종양이 발생했다. 세계적으로 사카린에 대한
불안감
이 증폭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부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도 사카린을 발암성이 의심되는 ‘2B군 물질’로 분류했다. 미국을 비롯해 거의 모든 국가에서 사카린의 사용을 ... ...
과학적으로 다이어트하기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한다. 게다가 건강한 음식보다 짜고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게 된다는 연구가 있다.
불안감
과 위기감도 다이어트의 적이다. 위기감을 느끼게 되면 평소보다 더 ‘고칼로리’ 음식을 선호하게 된다는 연구가 있다. 앞으로 자원이 부족해질 것에 대비해 무의식적으로 에너지원을 비축하려는 현상이다. 이 ... ...
수학에 대한
불안감
을 느끼는 이유는 유전자 탓?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수학 문제를 보자마자 긴장되고 온몸이 떨린다면? 또는 ‘수학’이라는 말만 들어도 무기력함을 느낀다면? 이 같은 상황은 모두 수학에 대한
불안감
... 수업 등으로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갖게 된다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수학에 대한
불안감
이 더욱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4월 1일 우리나라 충남 태안군에 규모 5.1의 지진이 일어나 지진에 대한
불안감
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진파를 인공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 에마뉘엘 자블로 교수팀은 지진파가 건축물을 통과할 때 파동이 지닌 힘(에너지) ... ...
연구팀에게 보내는 헌사-그들의 강철심장은 빅뱅보다 위대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우주론자인 나로서도 모두 다 알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양이었다.우리 과학자들은
불안감
을 지울 수 없었다. 우주 역사를 연구한다고 해 놓고, 정작 시작 중의 시작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심지어 초기조건을 모를 경우, 그 어떤 관측도 무의미하다는 극단적인 비관론까지 대두됐다.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H5N1형 인체감염 사례가 있었다”는 언론보도가 나오면서
불안감
이 커지자 보건당국에서 인체감염이 아니었다고 급히 진화한 일이 있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감염’이라는 말과 보건학에서 쓰는 ‘감염’의 정의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난 해프닝이다 ... ...
[수학뉴스] OECD 수학 1위, 흥미도는 최하위권!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한참 낮았다. 이런 결과를 반영하듯 수학에 대한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수학
불안감
’ 순위는 OECD 회원국 중 4위였다. 한편, 독일과 핀란드의 학생들은 성취도는 높지만 스트레스는 최하위권에 속해 우리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이번 평가에는 OECD 회원국 34개국을 포함한 총 65개국, 약 51만 명의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수산물 오염 가능성을 남기기 때문에 ‘혹시나’ 하는
불안감
을 준다. 일본뿐 아니라 이웃 국가인 한국에도 마찬가지다. 보이지 않는 것의 무서움기자는 2011년 3월 12일 인천 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후쿠시마 공항에 도착했다.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지 하루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알아봤지만 뾰족한 답을 얻기 어려웠다. 이처럼 정보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보니 자꾸
불안감
이 생기는 것이다.더구나 서 교수와 강윤재 교수 모두 “저선량 방사능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강도가 높은 방사선을 쬐면 얼마나 위험한지는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 일정량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