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염 물질
오물
찌꺼기
혼합물
d라이브러리
"
불순물
"(으)로 총 3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과학자가 말하는 과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평생 과학에 매혹돼 살아가는 사람들의 눈에는 과학이 어떻게 비칠까. 2월 5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주최한 사진콘테스트에는 정부출연연구원 과학 ... 연구위원은 콘크리트의 미세구조를 500배 확대했다(➍). 콘크리트가 굳을 때 생기는
불순물
(가운데 검은 원)마저도 예술적으로 보인다 ...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이미 11개의 도시에 수로가 완성됐지요. 주변의 샘이나 호수에서 물을 끌어와 침전지에서
불순물
을 가라앉힌 뒤, 저수조에 저장했어요. 마치 현재에도 건물 옥상에 있는 물탱크처럼 말이에요. 이렇게 저장된 물은 집집마다 들어와 생활용수로 사용됐답니다.폼페이 최후의 날쉿! 무엇인가 심각한 ... ...
[과학뉴스] 실험실에서 핀 23만6000개의 고드름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사진을 자세히 보면 울렁거리는 물결무늬가 있는데 물속의
불순물
때문이었다는 것!
불순물
이 없는 증류수에서는 이런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길쭉길쭉하게 뻗은 아름다운 모양을 연출하기 위해서 바람도 이용했다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깨끗한 액체를 흘려준다. 두 액체는 층류현상 때문에 서로 섞이지 않는다. 정액에 든
불순물
과 운동성이 낮은 정자는 반드시 들어온 채널의 출구로 빠져나간다. 반대로 활동성이 뛰어난 건강한 정자는 다른 채널로 넘어가기도 한다. 따라서 반대 출구에는 항상 건강한 정자만 모인다. 미국 미시건대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다른 잠수함을 회피할 수 있게 탐지하는 무기통제 시스템, 선박 내 이산화탄소 등
불순물
을 제거하고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맞추는 생활관리 시스템 등이다. 배전반은 이런 선박 내 모든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양문 캐비닛을 6~7개 합쳐놓은 모습인 장보고-III의 배전반에는 제어에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➊ 감자칩이 될 적절한 크기의 감자를 고른다.➋ 감자를 얇게 썬 뒤, 남아있는
불순물
을 씻어낸다.➌ 노릇노릇, 기름에 튀긴다.➍ 소금이나 양파맛, 바비큐맛 등 각종 양념을 뿌리고 버무리면 감자칩 완성!개성넘치는 각양각색 감자칩좋았어. 이제 노릇노릇한 칩이 되는 것까지는 문제 없어! 이제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생산했다. 국내에서는 이호용 선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이 지난 2009년 기존 압전소자에
불순물
을 첨가하는 방법(도핑)으로 전력 변환 효율을 100배 가량 향상시켜 화제가 됐다.최근에는 전선 주변에 생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거나 와이파이(Wi-Fi)의 전파에너지를 모으는 등 새로운 기술이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추적해 레이저로 쏴 맞춘다”며 “그 와중에 펠릿의 파편이나 벽과의 상호작용으로
불순물
이 발생하는데, 이를 피해가며 정확히 펠릿을 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단히 정밀하고 빠른 추적 기술은 물론, 레이저 급속 충전 기술이 필수다. 나 교수는 “레이저 방식은 과학적으로는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기온이 오르면서 녹기 시작한 지점의 물이다. 일부 학자들은 활성 수소가 풍부하고
불순물
이 거의 없어서 대사활동의 면역력을 높여준다고 주장하고 있다.미네랄 함량이 높은 미네랄 워터우리 몸은 스스로 미네랄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이나 음료로 섭취해야 한다. 이 때 일반 물보다 미네랄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장면이다. 1992년 나카무라 교수는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면 마그네슘
불순물
도 소자로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방법은 파란색 질화갈륨 LED가 성공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이듬해 마침내 상업적인 가치가 있는 1칸델라 밝기의 파란색 LED를 개발했다. 이와 같은 업적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