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d라이브러리
"
병원균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2011 노벨상 세상의 이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빨리 팽창한다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
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
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빨리 팽창한다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
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빨리 팽창한다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
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하는 겁니다.돼지 우리 면역 유전자를 연구하면 사람에게도 유익합니다. 우리는 사람과
병원균
을 공유하기 때문이죠. 재작년에 크게 유행했던 신종플루(H1N1) 바이러스도 원래 우리가 갖고 있던 바이러스인 거 다들 아시잖아요. 돼지 게놈을 연구해 면역력을 높일 방법을 찾으면 사람에게도 바로 ...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009년까지 피해를 입은 벌집을 분석해 ‘곤충무지개바이러스’와 ‘노제마 세라내’라는
병원균
을 발견했다.이 밖에도 꿀벌들이 먹이가 부족해 어쩔 수 없이 독소가 들어 있는 꿀을 빨아 먹고 떼죽음할 수도 있다는 가설도 있다. 하지만 아직 어느 한 가지 이유로 단정하긴 어렵다.꿀벌이 사라진다면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전염병에 취약하다. 유전적 다양성도 떨어지고, 체내 저항력도 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원균
과 바이러스를 옮기는 사람과의 접촉이 그리 반갑지 않다.이번 겨울 구제역으로 총 350만 마리의 소와 돼지가, AI로 닭과 오리 623만 마리가 살처분되거나 매몰됐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사상 최대의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새어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가장 많이 우려하는 것은
병원균
검출 여부다. 우선 아직까지 침출수에서 구제역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현재 유일하게 침출수를 검사한 곳은 경기도다. 김태한 팔달수질개선본부장은 “묻은 지 1개월~ 1개월 반 된 침출수를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눈, 코, 손가락 등 오감을 이용해 검역관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정밀검사를 통해
병원균
이나 해로운 화학성분이 있는지 조사한다. 모든 축산물을 검사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영하 20℃의 냉동 창고에서 무작위로 몇 개의 상자를 골라낸다. 그리고 상자마다 약 500g씩 낱개 포장된 고기를 하나씩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투약 기간과 양을 지켜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리고 “일단 항생제를 쓰면
병원균
을 모두 사멸할 때까지 사용해야지, 중단하거나 너무 적은 양을 복용하면 남아 있는 균들에 의해 내성이 생긴다”고 말했다.병원에서는 수술기구를 소독하고 손을 씻는 등 위생관리에 철저해야한다. 일본의 ... ...
벼 병충해 막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그 결과 보통 벼보다 병충해에 한층 강해졌다.연구 책임자인 첸 리큉 연구원은 “
병원균
은 식물의 영양분을 빼앗는 통로를 만들도록 식물 세포에 직접 활성 단백질을 주사해 세포 밖으로 영양분이 쏟아져 나오도록 만든다”며 “이 단백질에 스위트(SWEET)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설명했다.첸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