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밭"(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일종의 조류로, 맹그로브에 이어 2차로 육지의 오염물을 거른다. 최 연구원은 “잘피밭은 새끼 물고기들을 키우는 인큐베이터 역할도 한다”고 말했다.저녁에는 세미나가 이어졌다. 낮에 거대 그물로 건져 올린 물고기를 해부했다. 여학생 남학생 가릴 것 없이 모두가 물고기 내장을 하나하나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오는 생장점 부분을 잘라 실험실에서 키우는 거예요. 이것이 작은 묘목으로 자라면 밭에 심어 큰 바나나 풀로 키운답니다.그런데 이렇게 복제된 농장의 바나나들은 야생 바나나에 비해 유전자 다양성이 떨어져요. 즉, 모두 똑같은 유전자만 갖고 있는 거예요. 그러면 어떤 질병이 돌았을 때 모두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쉽고 1kg당 칼로리가 770kcal나 된다. 식량 팩으로 버티는 400일 동안 넓이가 약 62m2인 밭에서 수확할 수 있는 감자의 양은 약 150kg이다. 감자 150kg의 총 칼로리는 11만 5500kcal다. 기초 대사량을 생각해 하루에 1500kcal만 먹고 살아도 76일 정도밖에 버틸 수 없는 양이다. 물론 감자는 76일 동안 또 자란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건조한 기후의 나라예요. 이 때문에 호수에 흙을 쌓아 농사를 지었지요. ‘물 위의 채소밭’이라는 별명처럼, 치남파 농사는 호수에 쌓은 흙이 호수로부터 수분을 공급받기 때문에 건조한 기후에서도 작물이 잘 자란답니다.인공섬은 최고의 휴양지아랍에미레이트 연방의 대표적인 상업도시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채소가 또 있어요. 충남 보령시 농업기술센터 김영운 박사는 2004년에 전북 무안군에 있는 밭에서 우연히 작은 야생 참외를 발견했어요. 이 야생 참외를 우리가 평소 먹는 크고 달콤한 참외와 여러 번 교배해 중량이 10~15g밖에 안 나가면서도 달콤한 미니 참외로 개량했어요.씨앗을 빽빽하게 심는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실재감이 클수록 기억, 고통, 감정과 관련있는 후 대상피질이 활성화되면서 가짜 기억(눈밭)이 떠오르 기 때문이다. 그것도 HMD로 보면 일반 화면으로 볼 때보다 두 배 이상 효과가 좋았다. 뇌졸중 환자에게도 HMD로 가상현실을 경험하게 하면, 죽어있던 운동뉴 런을 재생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1650년경 고대 이집트 기록관 아메스가 더하기, 빼기부터 사각형, 삼각형, 둥근 모양의 밭 넓이 구하기 같은 실생활과 연관 있는 문제까지 84개 문항을 적어 놓았지요.”“우와~!”박현태 과장이 파피루스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하자 독자기자들이 환호를 하며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 우르르 몰려갔다.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한 시간에 생산할 수 있는 산소량은 3.25×10$^{-10}$kg 정도다. 따라서 화성을 뒤덮은 이끼밭이 만들어 내는 산소는 시간당 4.78×10$^{8}$kg 남짓이다. 이 값으로 필요한 산소량을 나눠 주면, 5억 6500만 시간이 나온다. 지구의 시간으로 약 6만 4500년이다. 단군이 나라를 세운 다음 흐른 시간보다 훨씬 더 길다. .. ...
- 배달하고 사진 찍고, 지금은 드론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카메라를 달아 TV프로그램이나 영화, 사진을 찍을 수 있고, 적지를 정찰하고 감시하거나, 밭에 비료를 뿌리는 등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기 때문이지요. 최근에는 응급환자를 살릴 수 있는 앰뷸런스 역할을 대신하는 드론이 개발되기도 했어요. 응급처치에 필요한 기구들을 드론에 실어 보내고, 구조 ... ...
- 지구사랑탐사대의 땀이 결실을 맺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위해 그동안 전국에서 수원청개구리가 발견되었던 70개 지역을 탐사했어요. 논이나 밭, 습지, 숲, 공원 등에서 개구리를 발견하면 사진과 동영상을 찍고 울음소리를 녹음해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앱에 올려 탐사 기록을 공유했어요. 그러면 장 교수님은 그 기록들을 분석해 어떤 개구리인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