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보]역동의 순간, 인간의 도전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위험과 극한을 추구하는 익스트림 스포츠만큼 인간의 도전이 빛나는 순간도 없다. 국제 익스트림 스포츠 사진 공모전, 레드불 일룸이 이번에도 그 순간을 모았다. 2023년 11월, 총 10개의 부문에서 우승작이 발표됐다. 그 중 일부를 소개한다.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소니는 네덜란드 기업 필립스와 합작 연구한 광학 정보 저장 매체인 ‘CD(Compact disc)’를 발표한다. CD의 표면에는 미세한 홈이 새겨져있다. 여기에 레이저를 비추면 홈에 따라 레이저가 반사되거나 산란되며, 반사된 빛의 양으로 0과 1을 구분할 수 있다.CD는 20세기 후반 널리 쓰인 저장 매체로 수많은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봇윤리연구회와 로봇산업진흥원은 2023년 12월 로봇윤리헌장(안) 2023년 버전을 발표해 공론화를 시작했다. 내용으론 인간의 더 나은 삶을 위한 로봇의 제작, 생산, 사용을 위한 3가지 기본 가치와 이를 반영한 6가지 윤리 원칙이 담겼다. 이번에 제안한 로봇윤리헌장의 6대 세부 원칙은 AI윤리와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중국도 45.56점으로 한국보다 15점이 높습니다(충격입니다). CCPI 보고서는 한국은 2023년 초 발표한 10차 전력 계획에서 재생에너지를 30.2%에서 21.6%로 낮췄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폐석탄 발전은 가스발전소로 대체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습니다. 기후솔루션은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때 외계 생명체의 존재 확률을 계산하는 드레이크 교수의 ‘드레이크 방정식’이 발표되면서 SETI의 초석을 다졌죠. 이 연구가 현재의 혹등고래 대화 연구까지 확장된 것입니다. SETI 연구소는 자연적으로 발생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되는 전파를 외계 지적 생명체가 만든 것이라고 보고, 이를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실험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2023년 12월 21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플루이즈’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Fluids.8.L122002 연구팀은 물로 가득 찬 지름 10cm의 원통에 굵기가 서로 다른 물줄기를 흘려보냈다. 그리고 수중마이크를 이용해 이때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고, 카메라로 물이 떨어질 때 ...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리보렐 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수면뇌파 검사를 통해 턱끈펭귄의 잠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발표했어. 연구팀은 2019년 12월부터 2주간 알을 품는 턱끈펭귄 14마리를 관찰했는데, 턱끈펭귄이 하루에 만 번 이상 고개를 끄덕이며 미세 수면에 들어가는 것을 확인했어. 고개를 끄덕일 때마다 4초 정도 느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12월 27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생성형 AI가 만든 결과물에는 저작권을 등록할 수 없다고 발표했어요. 창작자들의 권리 보호를 위해 아직은 인간의 생각과 감정이 표현된 창작물에 대해서만 저작권 등록이 가능하다는 이유였지요. 이렇게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 믿어지던 창작 분야까지 AI가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더 나아가게 했다. 오일러는 수학 역사상 최고의 천재로 평가받는 수학자다. 그는 평생 발표한 논문이 800편이 넘을 정도로 연구를 많이 했다. 순수 수학과 응용 수학 모두에 정통했고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이론과 개념을 만들었다. 수학을 비롯해 의학식물학화학천문학 등 많은 분야를 연구했다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효율적인 방법이다. 장 교수가 이 내용을 2013년 4월 수학계 최고 학술지인 에 발표하자 수학계가 술렁였다. 연구 결과가 뜸했던 쌍둥이 소수 추측에서 괄목할 만한 결과를 냈을 뿐 아니라 당시 장 교수가 수학계에서 잘 알지 못하는 수학자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당시 나이가 58세로 적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