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쪽"(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림 ➋는 하나의 태양 폭풍 사진을 30명이 관찰하며 그린 다각형입니다. 안쪽 경계와 바깥쪽 경계를 어렴풋이 구분할 수 있죠. 천문학자들은 점의 밀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태양 폭풍의 경계를 다시 그렸습니다. 이를 이용해 태양 폭풍이 어떻게 진행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죠!시민천문학자의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5, 4, 3, 2, 1, 0, 쿠쿠쿠쿠쿵’.자동 발사 초읽기 시계가 0을 가리키는 순간, 굉음과 함께 나로호 1단 엔진에서 수증기가 뭉게구름처럼 피어올랐다. 엔진이 가동하며 분출되는 2000도짜리 연소 가스가 발사대를 녹이지 않도록 초당 1400L의 물을 쏟아부어 생긴 수증기였다. 곧이어 나로호는 거대한 불꽃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전자의 에너지값 차이를 이용해 빛을 낸다. 전자가 외부에서 전기나 빛에너지를 흡수해 바깥쪽 전자껍질로 이동했다가 다시 안쪽 전자껍질로 떨어질 때 에너지값 차이만큼 에너지가 방출되고 이는 빛에너지로 전환된다. 이때 빛의 색깔은 방출되는 에너지값에 따라 결정된다. 전자의 에너지 준위 ... ...
- [과학뉴스] 태양 표면, 초근접샷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표면의 쌀알무늬가 자세히 보이는 사진이었지요. 쌀알무늬는 태양 표면에서 플라스마*가 바깥쪽으로 나왔다가 다시 태양 내부로 들어가는 대류 현상이 일어나며 나타나는 무늬예요. 사진 속에서 밝은 부분은 내부에서 뜨거운 플라스마가 솟아 나오는 곳이고, 어두운 쪽은 열이 식은 플라스마가 다시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아로코스의 비밀 ‘태양계 행성은 미행성*이 고속으로 충돌해 만들어졌다.’ ‘태양계 행성은 미행성이 완만한 속도로 뭉쳐 만들어졌다.’ 그간 태양계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이렇게 상반된 두 가지 이론이 존재했다. 그중에서도 전자인 ‘고속 충돌설’이 우세했다. 그 ... ...
- [한 장의 과학] 파커 솔라 프로브가 전한 태양의 속삭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불어오는 바람을 ‘태양풍’이라 해요. 이 바람은 태양의 가장 바깥쪽 대기인 코로나에서 시작해 우주 공간으로 뻗어 나가는 전하 입자들, 즉 플라스마의 흐름이지요. 이 태양풍이 불 땐 어떤 소리가 날까요?“히유웅~ 스으~ 쉬익” 지난 1월 21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태양풍이 내는 소리를 ... ...
- 수학이 가득한 벌집, 곤충계의 건축 박사 꿀벌을 만나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자연의 신비 아니겠어요(뻔뻔)? 그런데 언뜻 듣기로는 계속 방이 만들어지면서 방 안에서 바깥쪽으로 미는 힘 때문에 육각기둥 구조가 만들어진다고 하더라고요. 김준석 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우리 집이 만들어지는 구조를 수학적으로 분석했어요. 우리 집의 일부를 격자에 옮겨놓고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읽으면천재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은 등장과 함께 여러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를 선사했다. 그동안 각 분야에서 실험적으로, 그리고 이론적으로도 분명했던 한계치가 퀀텀닷을 도입하면서 뚫리기 시작한 것이다. 이런 혜택을 보게 된 대표적인 분야가 TV 디스플레이다. 그 ...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거쳐 탈의한다. 장갑을 먼저 소독하고, 전신보호복은 최대한 조심스럽게 벗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둘둘 말아야 한다. 보호복에 묻은 물질이 몸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박민우 질병관리본부 생물안전평가과 보건연구사는 “BL3 실험실에 한 번 들어갔다 나온 뒤에는 샤워해야 할 만큼 땀이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같은 발광물질에 적용하면, 우선 발광물질의 전자는 외부에서 전기나 빛에너지를 받아 바깥쪽 전자껍질로 이동했다가 다시 빛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안쪽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이 방출되는 빛이 우리가 눈으로 바라보는 그 빛이다.발광물질마다 방출하는 빛의 색이 다른 이유는 이렇게 전자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