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순"(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준모형은 마치 야누스의 얼굴 같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아름답지만 아름답지 않다. 모순된 말이지만, 물리학자들은 표준모형에서 아름다움과 미학적 불편함을 동시에 느낀다.표준모형의 핵심은 전자기력과 약력의 근원이 같다는 것이다. 수학적으로 말하면, 하나의 수식으로 두 힘을 기술할 수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계속 반복하면 엔트로피는 점점 작아지지만 0보다 작을 수 없으므로 언젠가 반드시 모순이 생긴다.타오 교수는 처음 에르되시가 제시한 문제에서 더 나아가 복소수와 무한차원의 힐베르트 공간 위에서도 증명했다. 1과 -1이 오른쪽과 왼쪽을 나타내는 일직선이라면, 복소수에서는 방향을 사방으로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하지만 수학적 풀이 과정에서는 전체를 연속체라고 가정하거든요. 어느 지점에서는 모순이 나타날 수밖에 없는 거지요.” 현실을 보고 만든 편미분방정식이지만, 그 방정식을 풀어서 구한 함수가 현실적인지는 모른다는 얘기다.편미분방정식에서 나온 함수는 특이점이 없으면서, 무한 번 미분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피해간다. 시간여행을 해서 과거를 바꿔도 내 자신에게만 변화가 생긴다고 설정하면 모순이 사라진다. 시간여행도 약간의 균열이 허용될 수도 있는 짧은 기간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함으로써, 시간여행의 가능성을 높혔다할아버지 역설을 피하는 방법사실 할아버지 역설이 역설로 보이는 것은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자석을 움직여 코일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간단한 실험을 통해 두 이론 사이의 모순을 드러냈다. 고전역학적 해석에 따르면 코일을 자석 가까이 가져갔을 때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것은, 자석을 코일 가까이 가져갔을때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것과 동일한 현상이었다. 하지만 맥스웰의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레닌주의와 일반상대성이론이 충돌한다고 여겨서, 적극적으로 일반상대성이론의 모순성을 공격하는 논문이 발표됐다. 일반상대성이론의 네 가지 해석하지만 정치사회적 선입관을 떠나서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것도 심각한 문제였다. 적어도 네 가지 해석이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오는 모든 파장의 복사 에너지 를 합하면 무한대가 된다. 슈테판-볼츠만의 법칙과 모순되는 결과다. 유한한 온도의 흑체에서 무한한 에 너지를 얻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레일리-진스 이론에 서 에너지가 무한하게 발산하는 이유는 파장이 0에 가까워질수록 에너지 밀도가 무한하게 커지기 때문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있는 총이 다른 사람이 봤다고 움직일 수는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은 기발한 발상으로 이 모순을 해결합니다. ‘빛이 나온 만큼 질량도 감소한다’는 생각이었죠. 질량(관성)이 줄어들면 그만큼 물체는 힘을 받습니다. 이 힘이 빛의 반동을 없애 주면서, 누가 봐도 총은 멈춰 있다는 게 아인슈타인의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못했다. 진공을 철학적인 개념으로만 생각했기 때문이다. 토리첼리는 ‘진공’이 모순이 아님을 바로 눈앞에서 보여준 셈이다. 이렇게 압력이 도입된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1기압에서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를 100등분한 것을 1℃로 하자는 국제적인 약속이 이뤄질 수 있었다.19세기 들어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선형변환 외의 다른 변환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이 이론은 바로 그 출발점과 모순을 일으키며, 그렇기 때문에 모든 것이 공중에 떠버린 셈입니다.”오류투성이였던 1914년 논문이 무렵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새로운 생각을 강의나 논문지도와 같은 귀찮은 업무에 시달리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전개할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