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듈"(으)로 총 3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것은 그만큼 쓰임새가 넓어졌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형광현미경 한 쪽에 레이저 모듈만 달면 다른 고정 장치 없이도 작은 시료를 원하는 시간 동안 자세히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애슈킨 연구원은 이를 이용해 적혈구와 바이러스, 박테리아를 포획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 결과를 1986년과 1987년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조립되는 방식으로 건설됐다. 1998년 러시아의 ‘자랴’ 모듈과 NASA의 ‘유니티’ 모듈의 도킹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136회의 비행을 통해 ISS가 완공됐다. ISS는 태양전지판의 끝에서 끝까지 폭 108.5m에 길이는 72.8m로, 인류가 지금까지 우주에 건설한 가장 큰 우주 구조물이다. 우주비행사가 최대 6명이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스마트폰은 센서 크기에 제약이 있어 DSLR 카메라를 넘어설 수는 없다”며 “카메라 모듈을 여러 개 달아 DSLR 카메라처럼 다양한 촬영 경험을 제공하려는 것이 요즘 추세”라고 말했다. Q. 무엇이 좋아졌나?스마트폰에 카메라가 여러 개 달려 있으면 우선 DSLR 카메라의 단렌즈로 촬영했을 때와 동일한 ... ...
-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건축물의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동시에 사전에 3차원(3D)으로도 볼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해 외국에 수출도 했다.건축학과는 외국 대학과의 교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건축 분야는 국제적 활동이 많고, 예술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되는 만큼 세계적인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 ...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찍어냈다. 이때 물리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져 세포가 죽지 않도록 프린팅하는 헤드 모듈을 개발하고, 귀의 형태를 단단하게 유지하기 위해 바이오 잉크에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추가했다. 그리고는 생쥐에게 이식했다. 2개월 뒤 이식한 귀는 연골 조직이 모두 정상이었다. 주변에는 혈관도 새로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2.9V를 넘기는 데 성공했다. 학생들 사이에서 기쁨의 환호성이 터졌다.이번에는 태양전지 모듈의 효율을 측정했다. 햇빛과 거의 비슷한 에너지(약 100mW/cm2)를 내는 ‘솔라 시뮬레이터’가 사용됐다. 전압 약 3.5V, 전류는 45밀리암페어(mA)로 나타났다. 광효율은 약 8%였다. 실제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약 2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IF방식으로 다시 한 번 가속하는 데 쓰인다. 희귀동위원소 빔은 180m 길이의 SCL2에서 48개의 모듈에 담긴 219개의 가속관을 한 번 더 통과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18.5MeV의 운동에너지는 200MeV까지 높아진다. SCL2에서 가속된 빔은 중간에너지 핵과학 실험에 사용된다. 중성자 과잉 희귀동위원소 핵을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가속기 핵심 장치인 ‘초전도 가속 모듈’을 개발해 성능 시험까지 마쳤다. 초전도 가속 모듈은 올해 양산에 돌입해 22개를 만들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설치에 들어갈 예정이다. 권 연구위원은 “2020년이면 우라늄238을 기준으로 4403MeV(메가전자볼트)의 낮은 에너지 영역에서는 일차적으로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포 시스템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이를 위해 공학에 적용되는 부품화, 표준화, 모듈화의 개념이 생물학에 도입됐고, 바로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이라는 학문이 정립됐습니다. 합성생물학에서는 DNA를 컴퓨터의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대합니다. 0과 1로 이뤄지는 이진코드(binary code) 대신, ... ...
- Intro. 20년 우주 개발 협력의 상징, 국제우주정거장 ISS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품을 벗어난 인간이 우주에서 먹고 자며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 ISS. 1998년 ISS의 첫 모듈이 발사된 지 어느덧 20년이 흘렀다. ISS는 2024년까지 운용될 예정이며, 현재 4년 더 연장할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인류 우주 개발의 역사가 집약된 ISS의 20년을 정리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