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니터"(으)로 총 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답변만 하면 되니 마음은 평온했다. 그런데 웬걸. 검사가 끝난 뒤 컴퓨터 모니터를 확인한 순간 기자의 거짓말이 들통 났음을 깨달았다. ‘당신은 3을 썼습니까?’라는 질문에 ‘아니오’라고 답한 경우에만 유독 흉부와 복부의 호흡이 길어졌고, 땀 발생량이 최고를 기록했다. 이 부분에서만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단위로 분석할 수 있는 터널링 주사 전자현미경(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이라며 “모니터에 보이는 노란색 알갱이 하나가 금속 원자”라고 말했다. 기존 이론으로 설명 안 되는 ‘고온 초전도체’ STM은 물질 표면의 전자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다. 현미경의 뾰족한 탐침에서 흘러나온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인 우주 탐사의 영원한 최종 목표는 아닐 것이다. 인사이트 착륙을 관제했던 관제실 모니터에는 우주로 나간 모든 우주선들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있었다. 가장 가까운 ‘달 궤도 탐사선(LRO)’의 데이터부터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공간으로 진출한 보이저호의 데이터까지. 달을 기착지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물질인 황산화물(SOx)이나 질소산화물(NOx)이 중유에 비해 크게 감소된다”고 말했다. 모니터 왼쪽에는 중유로 발전하는 2호기의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수치가, 오른쪽에는 바이오중유로 발전하는 3호기의 수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있었다. 수치로 보니 차이가 확실히 컸다. 중유 발전기가 149ppm의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흰 우유와 흰 쌀밥과 같은 무채색 음식만 먹고 살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매리는 흑백 모니터에 연결된 컴퓨터를 쓰고, 흑백으로 된 책을 맘껏 읽을 수 있었어요. 덕분에 매리는 과학을 공부하는 낙에 살았지요. 특히, 색을 너무 보고 싶은 마음에 색에 대한 모든 것을 공부했답니다.그러던 어느 날, ... ...
- [출동! 기자단] 카이스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 게임을 하면서 연구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친구들은 박은지 연구원이 만든 마우스 실수 예측 실험에도 참여했어요. 검은색 모니터에 움직이는 파란색 공이 나타나면, 마우스로 공을 정확히 클릭해야 했죠.“저는 8명의 게이머와 일반인으로 마우스 조작 능력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어요. 그랬더니 두 그룹 모두 파란색 공을 클릭한 횟수는 ... ...
-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 없지! 위대한 발견을 위해 날마다 눈이 빠져라 위성 신호를 찾고 있는데…. 어? 마침 모니터에 수상한 신호가 잡힌 것 같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Part 3. 구름, 파도 같은 ... ...
- [과학뉴스]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환자 8명과 부동시약시 환자 9명, 그리고 정상 시력을 가진 15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모니터에 돌아다니는 점들을 보게 했다. 사시약시와 부동시약시 환자들은 모두 어렸을 때부터 이들 질환을 겪은 성인이었다. 연구팀은 화면에 돌아다니는 점들 중 일부는 시력이 약한 쪽의 눈으로만, 나머지는 ... ...
- [에디터 노트] 우주군(軍)과 존 레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모니터 하고 있었다. 러시아는 이날 탑재체 3개를 쏘아 올리기로 했다. 미 공군의 모니터링에 묘한 게 발견됐다. 우주 공간에 정체불명의 물체가 하나 더 있었다.처음에는 발사 과정에서 떨어져 나온 로켓 잔해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 미심쩍은 물체는 지구 궤도를 계속 돌았고, 러시아는 발사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걸을 수 있을 만큼 넓었다. 김동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이 회의실에서 초대형 모니터로 이사부호의 내부 구조와 연구 성과를 설명해 줄 때는 ‘배 안에 있다’는 사실을 잊을 정도였다.이사부호에서는 층을 ‘1층’ ‘2층’ 등으로 부르지 않고 ‘데크’라고 표현한다. 이사부호는 메인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