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머리
첫머리
서두
d라이브러리
"
말시초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하나의 그림이 백마디 설명보다 가치있다.' 컴퓨터환경이 문자정보에서 점차 그림정보로 옮겨감에 따라 그래픽이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영화 광고 애니메이션 기초과학 의학 등에 널리 쓰이는 컴퓨터그래픽은 어떻게 시작됐을까.글자가 없는 시대에도 그림은 있었다. 그림은 최초의 만국 공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1910년대에 이미 플라스틱제품이 생산됐으나 과학자들은 30년대까지 스타우딩거의 고분자설을 믿으려들지 않았다.분자량이 큰 화합물(대개 1만 이상)을 고분자(macromolecule)라 부른다. 고분자 과학의 역사는 60여년 밖에 안되지만 인간은 이 지구상에 태어났을 때부터 고분자를 의식주의 가장 중요한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필자가 찾아볼 수 있었던 가장 최근의 자료에 의하면 현재까지 4천8백여개의 소행성들이(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태양궤도를 도는 조그마한 천체들)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소행성들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그것이 뭐가 중요하냐고? 우선, 소행성들은 어쩌면 태양계에서 가장 오래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수프가 무엇인지는 누구나 잘 알고 있다. 수프란 진한 국물속에 다양한 재료들이 섞여 있는 음식이다. 우리는 수프를 즐겨 먹을 뿐 아니라 맛있는 수프는 하늘이 내려준 좋은 선물이라고 생각한다.그러나 수프라는 용어는 단순히 맛좋은 국물이라는 차원을 넘어 보다 많은 사물을 의미하게 되었다.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타이프라이터를 이용, 최초로 소설을 쓴 사람은 마크 트웨인이었고 그 작품은 「톰 소여의 모험」이었다.타자기로 시를 쓰는 시인을 상상해보면 어쩐지 이상하다. 흔히 TV에서 고뇌하는 문학가를 묘사하는 장면에 등장시키는 것은 구겨진 원고지 뭉치다. 그러나 이러한 장면도 시대가 바뀜에 따라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더 빠른 속도는 이제 의미가 없다. 얼마만큼 문제를 빨리 해결할 수 있느냐가 관건으로 등장했다.크레이컴퓨터가 무대위에서 번쩍거리고 있을 동안, 객석에서는 일본이 꿈틀대고 있었다. 일찍부터 과학기술경쟁에서 선두의 위력을 제2차 세계대전의 쓰라린 경험으로부터 절실히 느껴온 일본은 몇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CDC를 뛰쳐나온 세이모 크레이는 크레이리서치사를 설립하여 슈퍼컴퓨터시장의 왕좌에 군림하게 되는데…서울-부산을 자주 다녀야 하는 사람에게 다섯시간 이상을 기차나 자동차에 갇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게다가 철로수리 구간이 자주 있거나 고속도로가 막힐 때 우리는 ... ...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캘리포니아주의 라졸라에 위치한 스크립스 해양연구소의 레이 위스박사가 이끄는 미·소 공동 연구팀은 시베리아 동부에 있는 바이칼 호수와 관련된 중요한 발견을 했다.바이칼 호수가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는 아니다. 그 최고의 영예는 31,500 평방마일이나 되는 슈페리어 호수에 주어지며 바이칼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인간의 손으로는 불가능한 과학기술계산을 식은 죽 먹듯 순식간에 해치우는 슈퍼컴퓨터의 탄생에 얽힌 뒷얘기들을 엮어본다.비행기를 새로 개발하려는 회사가 있다. 먼저 유체역학에 의해서 날개모양을 만들고 몸통도 대충 어떤 모양이 될 것인가 구상해본다. 생각나는 대로 설계도를 만들고 이에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2백년 가까이 천문학자들을 난처하게 만들어 왔던 문제를 온타리오에 있는 워털루대학의 천체물리학자 폴 웨슨은 해결한 것일까?지난 1826년에 독일의 천문학자인 하인리히 올버스는 만약 하늘에 무한한 수의 별들이 존재한다면 어느 방향으로 쳐다보더라도 별 하나쯤은 볼 수 있어야 하지 않느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