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지막"(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내 SNS 기록, 가족에게 상속할까? 말까? 디지털 유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유족은 “대형 재난 사고가 일어나면 피해자들이 최후의 순간 휴대전화로 가족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며 “이를 고려하면 고인이 직접 동의하지는 못했어도 동의한 것으로 가정해 잠금 해제를 청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2021년 애플은 ‘디지털 유산’ 기능을 도입했어요. 애플 기기를 ...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때까지 끌어올렸더니, 빨대가 커스텀 한 아바타의 입에 겨우 물리더라고요.” 제작의 마지막 단계는 아이템을 유니티 엔진에 올리는 거예요. 모델링하고 질감을 선택한 아이템을 제페토 상에서 더 멋지게 보이게끔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어요. 내가 만든 아이템에 반짝거리는 효과를 주거나,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장애물을 넘어가며 전진! 보행로봇 로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건전지 박스를 달고, 4개의 다리 부품을 순서대로 달아주세요. 다리까지 잘 연결됐다면 마지막으로 몸체 맨 뒤편 남은 공간에 모터를 결합할 차례입니다. 모터를 연결한 뒤, 건전지 박스에 건전지를 넣고 작동 버튼을 누르면 네 발로 걷는 보행로봇 로키 완성! 작동이 잘 되는지 확인했다면 인형 눈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하고 현명한 오픈채팅 사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채팅방에서 지나치게 자료를 올리라고 권장한다면 채팅방을 나오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들과 보호자들이 안전하다고 판단한 뒤 오픈채팅을 사용하게 된다면, 그때는 어린이들도 디지털 미디어의 사용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보통의 채팅방과 마찬가지로, ... ...
- [꿀꺽! 수학 한 입] 단위분수로 이뤄진 호루스의 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끝이야.이집트인들은 부족한 1/64을 지혜의 신인 토트가 채워준다고 생각했거든. 토트가 마지막을 더해주면, 호루스의 눈은 완전한 1이 되는 거야! 어때, 분수 이야기 재미있지? 고대 중국의 수학책 ‘구장산술’에도 분수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분수는 아주 오래전부터 여러 나라에서 사용됐을 ... ...
- [만화뉴스] 모르는건모른다고말하는 정직한 AI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블록’이 이를 순서대로 처리합니다. 이때 기존의 AI는 가장 많은 데이터를 학습한 마지막 블록을 사용해 답을 몰라도 가장 비슷한 값을 정답으로 잘못 인식한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연구팀은 학습한 적 없는 데이터에 대해 ‘모른다’는 값을 출력하는 중간 블록을 사용해 AI를 학습시킨 결과, ... ...
- [꿀꺽! 수학 한 입] 조각난 호루스의 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전쟁의 신 ‘세트’와의 싸움에서 승리하며 고대 이집트의 왕이 된다. 그러나 세트가 마지막에 던진 창에 맞아 호루스의 눈이 6조각으로 나뉘고 만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지혜의 신 ‘토트’는 여기저기 흩어진 호루스의 눈 조각을 마법의 힘으로 찾아 모은다. 안녕? 나는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렇게 증명이 된 명제 중에 중요하거나 유명한 것을 피타고라스의 정리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처럼 ‘정리’라고 부르지요. 인문학자 : 증명을 수학의 근간이라고 하는 이유가 있나요? 수학자 : 어떤 주장이 논리적으로 빈틈없이 참임을 보이기 위해서는 그것이 증명돼야 하기 때문이에요. 고대 ... ...
- [가상인터뷰] 4억6000만년전 삼엽충은 뭐 먹고 살았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제 외피가 살짝 깨진 부분에 껍질 조각 같은 것이 튀어나와 있었는데, 눈썰미 좋게 제 마지막 식사였다는 걸 알아챈 거죠. 연구팀은 제 몸을 깨지 않고 내장을 조사하기 위해 해상도 높은 싱크로트론 현미경 단층촬영을 했어요. 연구팀은 제 몸 곳곳에서 터널 같은 구멍도 발견했대요. 제가 죽고 난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다면, 한국에서도 찾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마지막으로 서 회장에게 유전체학의 미래에 대해 물었다. 그는 2003년 4월, 프랜시스 콜린스 당시 미국 국립유전체연구소(NHGRI) 소장이 동료들과 네이처에 쓴 “유전체 연구의 미래에 대한 비전”이라는 글을 인용했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