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학교"(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유럽연합(EU)의 입법부인 유럽의회는 올해 6월, 일명 ‘배터리법’을 본회의에서 승인했습니다. 환경을 위해 배터리 생산 시 재활용 광물 사용 비율을 의무화하겠다는 내용입니다. 미국이 지난해 도입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서도 폐배터리 재자원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배 ... ...
- [인터뷰] 메이커 페어 서울 2023, 새로운 길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기자는 기사를 만들지만, 메이커라고 불리진 않는다. 소설가 역시 이야기를 만들지만, 메이커라고 칭하지 않는다. 최근 핫한 TV 프로그램인 스트릿우먼파이터2의 댄서들도 마찬가지다. 춤을 창작하는 이들을 안무가라 부르지 메이커라 부르진 않는다. 그렇다면 만드는 사람이란 뜻의 ‘메이커’는 ... ...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산하의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협력단원으로 파라과이의 중고등학교에서 과학교사로 2년 2개월간 근무했습니다. 국제개발이라는 분야가 저에게 잘 맞을지 경험을 통해 알아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표면적으로는 봉사단원이었지만, 제가 이곳에서 얻은 경험과 영감은 평생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공동교육과정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진로를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노력했음을 잘 보여주는 경험으로 판단하기도 합니다. Q.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들이 공동교육과정의 과목들을 선택할 때 주의하거나 준비해야할 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공동교육과정은 수업을 열심히 듣고 참여하겠다는 학생 자신의 의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사실 ... ...
- [기획] 단백질 구조, 악보로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단백질은 거대한 분자입니다. 크기만큼 복잡한 구조를 지녀 많은 정보를 담고 있죠. 이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 단백질로 작곡하면 어떤 멜로디가 나올까요? 단백질 속 모든 정보는 작곡의 요소? 머리카락, 피부, 장기 등 우리 몸을 이루는 대부분의 기관들은 모두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요. 하지만 ...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긴장돼서 1시간은 일어서서 있었던 것 같았어요. Q. 학교에서 수학 활동을 하나요? 고등학교 2학년 때 수학을 좋아하는 친구들과 ‘퓨마(PURE MATHEMATICS, 순수 수학)’라는 수학 동아리를 만들었어요. 학교에 수학 잡지 동아리와 수학 봉사 동아리는 있었는데, 문제를 푸는 동아리는 없어서 직접 ... ...
- [최신이슈] '제로 슈가’ 전성시대 대체 감미료, 직접 먹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제로 음료, 제로 쿠키, 심지어 제로 초콜릿까지, ‘제로 단맛’ 식음료 전성시대다. 이 음식들의 공통점은 기존 감미료인 설탕과 액상과당 대신 열량이 거의 없는 대체 감미료를 써서 단맛을 냈다는 점이다. 대체 감미료는 기존의 감미료와 도대체 무엇이 다를까. 단맛 좋아하기로는 편집부에서 제 ... ...
- 천재가 행복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친구들이 있어서 그나마 괜찮았어요. 물론 나이에 맞는 사회적 경험을 하지 못했어요. 고등학교 때는 고등학생들끼리 하는 사교 모임이 있었는데, 전 어리니까 참여하지 못해서 속상할 때가 많았어요. 그래서 프린스턴대에서 박사과정을 밟을 때 학부생들과 많이 교류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영화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학교에서는 미적분을 가르칠 때 미분부터 알려주지만, 수학의 역사에서는 적분이 먼저 관심을 받았다. 고대부터 땅의 넓이를 구하려는 노력이 적분의 시초다. 그렇다면 적분의 아이디어는 어떤 과정을 거쳐 수학적 개념으로 발전했을까? 그리고 서로 다른 시기에 시작된 미분과 적분을 어떻게 미 ... ...
- 슬기로운 수학생활 멘토링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문제를 잘 풀었습니다. 전 회원의 발표를 들은 서창환 회원은 “초등학생이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순열, 조합 개념을 이용해 문제를 풀다니 대단하다”면서, “앞으로 수학 공부를 할 때 왜 이런 상황에서 이 공식과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지 생각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 회원에게 조언했어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