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경우 1초도 안 되는 한 프레임의 음성 데이터는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어’ ‘가’ 등 음절일 뿐이다. 영상에는 화면에 시간 정보가 기록되지만 음성엔 그런 정보가 없다는 단점도 있다. “블랙박스에 녹음된 음성 파일을 복원한 적이 있어요. 가해자가 흉기로 피해자를 협박해 차량 내에서 ...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파장의 파동적 성질을 가져서 원자핵 단위로 실험 환경을 볼 수 있고, 에너지-질량의 등가 원리에 의해 새 입자를 생성하기도 합니다. 입자 충돌에서 생성된 이 새로운 입자들을 보려면 입자 검출에 특화된 카메라가 필요합니다. 그중 하나가 앨리스 검출기죠. 너비 16m, 높이 16m, 길이 26m의 이 대형 ... ...
- [과학뉴스] 130억 살 넘은 블랙홀, 기존 이론 뒤집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속도로 성장했거든요. 연구팀은 초기 우주에서 블랙홀이 애초에 크게 생성됐을 가능성 등 여러 가설을 연구하고 있어요. GN-z11 은하는 우리은하의 100분의 1 크기로 작은 편인데, 거대하게 탄생한 블랙홀이 은하의 성장을 막고 있을 수도 있다고 보는 거죠. 연구팀은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을 활용해 ... ...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너무 작기 때문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어려워. 그래서 동력을 얻기 위해 빛, 소리, 자기력 등을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해 왔어. 하지만 나는 소변을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연구팀은 외부 표면에 구멍이 많은 입자 ‘실리카’를 이용해 나노로봇을 만들고, 소변의 주요 성분인 요소와 반응하는 ... ...
-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재질에 따라서도 팀이 나뉩니다. 의류를 연구하는 직물 팀, 실록을 연구하는 지류 팀 등이 있어요. 저는 석재 팀이에요. 금속 소재와 목재 장식이 함께 있는 복합 유물의 경우는 금속 팀과 목재 팀이 같이 연구한답니다. Q가장 기억에 남는 문화재가 있나요?625 전쟁 때 1만 조각 이상으로 부서진 ... ...
- [Level Up!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에게 눈이 있다면? 컴퓨터 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필자소개김지훈(부산 신금초 교사). 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
- [과학 용어] 요소/태양풍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태양풍이 너무 강하게 몰려오거나 지구 자기장이 약해지면 사람들에게 전파장애 등 피해를 주기도 해요. 특히 지구 궤도에 떠 있는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은 방사능에 노출되기 쉬워 위험합니다. 지난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올해 태양의 활동이 왕성할 것으로 예측해 태양풍 피해를 대비해야 ...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것보다 150년가량 앞선 시기다. 1보다 작은 수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법은 중국, 인도 등 여러 문화권에서 독자적으로 나타났다. 그중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소수점 체계는 중세 유럽에서 시작됐다. 지금까지 소수점이 사용된 가장 빠른 용례는 1593년, 독일 예수회의 천문학자 크리스토퍼 ...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만났던 고래상어와 개복치, 이외에도 환도상어, 범프헤드페롯피시, 대왕쥐가오리 등이 있죠. Q. 과학동아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바다는 생명이 탄생하고 진화한 곳입니다. 바다생물은 우리의 생명의 고향에서 장구한 세월을 살아오며 놀라운 능력을 갖춘 존귀한 존재이자, 지구의 ... ...
-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을 찾아냈다. 그 뒤 이 수식의 변수들을 기온과 바닷물의 염도 등 관측한 정보에 맞게 적절히 변환했다. 사용한 이론은 덩어리지어 흐르는 유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여과 이론’과, 무작위로 형성된 배관이나 전기 저항을 설명하는 ‘랜덤 파이프 네트워크 이론’이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