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털
머리카락
모발
헤어
머리가락
머릿카락
모발습도계
d라이브러리
"
두발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공룡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대개 발가락이나 발톱자국과 같은 흔적이 있다. 만약 이러한 흔적이 없다면 그것은
두발
로 걸어다닌 공룡이다. 공룡발자국은 대부분 무리지어 나타난다. 만약 하나만 덜렁있다면 확인하기 어려웠을 것이다.그런데 더 중요한 사실은 공룡발자국이 나타나는 곳이 한정돼 있다는 것이다. 공룡발자국은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몸길이 6-8m. 트라이아스기 말(2억2천만년 전). 네발로 걷다가 나뭇잎을 먹을 때는
두발
로 선다.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에서 발견됐다. '단조롭게 생긴 도마뱀'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리오자사우루스(Riojasaurus)몸길이 10m. 몸무게 1t. 트라이아스기 말(2억1천9백만년 전). 아르헨티나 리오자라는 곳에서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발견됐다. 발견자는 빅토리노 헤레라라는 농부다. 또 알베르토사우루스는 백악기에 살던
두발
로 걷는 육식공룡으로 캐나다 앨버타지역에서 발견됐다.이처럼 한국 사람의 이름이나 한반도의 지역 이름을 붙인 공룡이 언젠가 나올지 모른다. 왜냐하면 많은 학자들이 "한반도는 백악기 공룡들의 ... ...
수영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같은 거리를 달린 육상기록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이같은 기록은 인간이 땅 위에서
두발
딛고 살도록 ‘설계’ 됐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태어나면서부터 물 속에서 생활하는 고기는 미로성 반사, 측선반사 등 몇 개의 반사구조가 겹쳐 있어 수중에서의 자세를 유지한다. 능숙하게 헤엄을 치기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매달려 있으면 전압차가 생기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안전하다. 물론 이때
두발
은 땅에서 완전히 떨어져 있어야 한다. 가정용 전선은 땅에 발을 딛고 서 있는 사람이 벗겨진 전선을 잡았을 때 전압에 의한 충격을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해서 전선 중 하나는 미리 땅과 연결시켜 두었다. ... ...
당신의 체형은 정상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척추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는 심제성원장(제일성심병원)은 "사람은
두발
로 서서 걸어다니기 때문에 몸의 중심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면서 "머리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면 몸체는 오른쪽, 골반은 왼쪽으로 기울어져 평행을 유지해야 걸을 수 있다"는 예를 들었다.고개를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발가락의 외형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사람은
두발
로 서서 걸어다니지만 네발로 걷는 자연계의 다른 동물들과 비슷한 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발은 서 있을 때는 몸의 주춧돌 역할을 하고, 걸어다닐 때는 체중에 의해 몸이 바닥에 닿을 때의 충격을 감소시켜 ... ...
5. 미래 인간의 모습은 어떤 형태일까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사바나)으로 바뀌자 수상생활을 하던 유인원의 일부가 지상생활을 하게 됐다.처음으로
두발
로 걷게 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란 원인이 약 4백만년 전에 생겼고, 그 일부에서 약 2백만년전 호모 하빌리스란 원인이 나타났다. 이 원인은 연장을 사용해 사냥을 했고 그 결과 뇌의 발달이 촉진됐다. 연장을 ... ...
물살을 가르며 새벽을 연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남짓한 인어들이 물살을 기른다. 돌고래 꼬리 같기도 하고, 가오리 같기도 한 핀을
두발
에 끼고 수영장을 오가는 사람들…. 언뜻 보면 동화나 만화에서나 만날 수 있는 인어의 모습과 다를바 없어 보인다. 이들은 바로 수영 동아리 '가오리'들이다. 동아리라고는 하지만 여느 동아리와는 다르게 ... ...
1. 두개골 비슷, 첫 발견때부터 파충류 분류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이상 발견됨으로써 공룡족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연구로는
두발
로 걸은 것이 9종, 네 발로 걸은 것이 4종이라고 한다. 어떤 것은 폭이 60㎝나 되고 뚜렷이 4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다.경상북도 의성군에서는 약 25마리 정도의 초식공룡의 무리가 만든 3백여개의 공룡족흔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