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안기후"(으)로 총 1,0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드론으로 본 제주] 제주의 역사를 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제주 중부라고 하면 흔히 한라산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제주 한가운데 우뚝 솟아 제주 그 자체이기도 한 한라산도 물론 아름답지만, 저마다의 개성을 담은 다른 명소도 많은 지역이다. 지난 호의 제주 서쪽 지역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제주 중부의 다양한 지형을 소개한다. 제주에서 가장 아름답다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③ 1만5000개의 핵무기가 터졌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한 인터뷰에서 제3차 세계대전 때 어떤 무기로 싸울 것 같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제3차 세계대전은 잘 모르겠지만 제4차 세계대전은 막대와 돌멩이로 싸우겠죠.” 당시는 핵무기가 막 개발되기 시작한 때로 아인슈타인이 핵전쟁은 인류를 ... ...
-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인류의 멸망 이전에, 4억 5000만 년 동안 총 5번의 대멸종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총 45번의 크고 작은 전지구적 온도 변화가 있었는데 온도가 5.2℃ 이상 변하면 대멸종이 시작됐다. 멸종에는 온도 변화의 속도 또한 중요했다. 100만 년 만에 10℃ 이상 변하는 빠르기여야 대멸종이 일어났다. 3번째 대멸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북아메리카가 꽁꽁 얼어붙은 시절이 있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북아메리카대륙의 서쪽에는 미국부터 캐나다까지 약 4500km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로키산맥’이 있습니다. 이 로키산맥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곳이 캐나다의 ‘밴프 국립공원’인데, 국립공원 여기저기에 빙하와 호수가 만들어낸 절경이 남아 있죠. 이 빙하들은 한때 북아메리카대륙을 뒤덮었 ... ...
- 어떤 멸망을 선택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인류 멸망은 끔찍한 상상이지만, 동시에 꽤나 흔한 상상이기도 하다. 그동안 영화나 드라마에서 인류는 숱하게 멸망해왔다. 최근에도 영화 ‘돈 룩 업’에서는 소행성 충돌로, 드라마 ‘고요의 바다’에서는 기후위기로, ‘마더/안드로이드’에서는 인공지능(AI) 점령으로 인류가 멸망하거나 멸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② 10km급 천체가 떨어져 겨울이 찾아왔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한때 인류는 소행성을 곡물(Ceres)과 지혜(Pallas), 사랑(Eros)의 신의 이름으로 불렀다. 소행성 하나하나에 인류를 풍요롭게 하는 존재나 가치를 투영했다. 그러나 오늘날 소행성은 인류를 파멸로 이끌지 모를 두려운 존재로 여겨져 풍요 대신 멸망과 관련된 이름이 붙곤 한다. 2004년 발견된 소행성 ‘아 ... ...
- [과학동아 키즈] 밤을 밝히는 전등이 모두를 공평히 비추길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나는 전기공학자다. 전기공학자라 하면 흔히 연구실에 앉아 설계도를 살펴보는 모습을 상상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내 일터는 조금 더 거친 곳에 있다. 자동차 도로가 없어 말을 타고 이동해야 하는 오지나, 전쟁 중이라 하루에도 몇 번씩 거주지 근처로 폭탄이 떨어지는 지역이 내 활동 무대다. 초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식물의 모습으로 기후변화를 알아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호기심 많은 학생이 만난 식물 계절“안녕하세요! 저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기후변화와 식물 계절이라는 주제로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김종호입니다.”작년 9월 14일에 진행됐던 지구사랑탐사대 온라인 클래스에서 김종호 연구원이 건넨 인사말이에요. 식물 계절이란 주기적으로 반복되 ... ...
- [기고] 미래 세대 목소리 담은 ‘행동의 10년’ 시작됐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지난해 11월 10일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6)가 열렸던 영국 글래스고에서 청년들이 기후위기에 대응하자는 내용의 운동을 펼쳤다. (※편집자 주. 지난해 10월 말~11월 초 영국 글래스고에서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6)가 개최됐다. 21세기 말 지구평균온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7일 안에 완성하는 건.”수호와 장만이 대화하는 동안 태양이 5도만큼 이동했기 때문에 그림자가 수호의 입-손을 가리기 시작했다. 장만은 수호의 입-손이 밝은 햇빛에 드러나도록 천막 입구를 활짝 열고 다시 물었다.“7일 안에 남은 부분을 완성할 수 없다는 뜻이야?”“그래. 불가능해.”장만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