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독자"(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한 가지 깨달음은 얻었다. “절대 포기하지 말자. 버티는 자가 결실을 맛본다.” 독자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인 동시에, 글을 처음 쓴 6년 전과 지금의 내게 하고픈 말이다. 부디 모두 포기하지 않길 바란다 ... ...
-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제가 의도한 바를 살린 부분도, 뜻밖의 지점도 드러나 있어 색다른 경험이었다”면서 “독자들에게 나의 글이 어떻게 느껴지는지 엿볼 수 있어 뜻깊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장경애 동아사이언스 대표는 “콘텐츠에 몰입하며 느끼는 즐거움은 그 콘텐츠의 스토리가 가진 힘에서 온다”면서 ...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쉽지 않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과학 수업: 방사선과 원소’는 이 논문들의 정수를 독자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정교수와 화학양의 대화 형식으로 풀어냈다. 수식이 필요한 어려운 부분도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서술하는 점도 인상적이다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그곳에서 수학자를 꿈꾸며 석박사 통합과정을 밟고 있는데요. 중학생 때 독자였다고 해 더욱 반가웠어요. 지금부터 그의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흔들리는 수학자 꿈을 다잡다 수학 공부를 깊이 있게 해보고 싶다는 생각에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에 진학했어요. 그런데 초반에는 ‘내가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가 발견해 지금의 이름이 붙었습니다. 요한 베네딕트도 독자적으로 발견했으나, 독일의 수학자 뫼비우스가 더 많이 언급해 뫼비우스 띠라고 불립니다. 위상수학의 발전을 이끈 뫼비우스 띠뫼비우스 띠는 위상수학 분야에서 매우 흥미롭고 중요한 곡면입니다. 그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청소년 독자 여러분이 신기술의 근본 원리에 대한 기초 연구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면, 독자 기술로 슈퍼커패시터를 만들 날이 곧 오리라 생각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 ❋필자소개.전상은. 경북대 신소재공학부 금속신소재전공 교수. 미국 카네기멜런대에서 2011년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 ...
- [메타버스 여행법] 템플릿으로 손쉽게 나만의 아이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 편집자 주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 아이템 템플릿이란? ‘템플릿(template)’은 견본이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예요.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무언가를 ...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공식 카페에 올라온 독자 여러분의 이야기를 지면에 소개하는 창이 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글을 싣기도 하고, 이번처럼 제보해 주신 기사 아이템을 토대로 기자가 발로 뛰며 기사를 완성하기도 할 계획입니다. 혼자 궁금해하고 말기엔 아까운 이야깃거리가 있다면 언제든, 과학동아 ... ...
- [과동키즈] 우린, 모두, 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성장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그런 까닭에 과학이 좋아 과학동아를 애독하는 청소년 독자들께도 여러분 모두가 앞으로의 과학 발전에 기여할 잠재력이 있다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습니다. 현대 과학은 첨단 장비들과 수많은 공학자, 기술자의 노력 위에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꼭 과학고를 가야먄,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단일 원자 전자스핀 플랫폼은 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에서 최초로 개발한 독자적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상용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남았다. 현재 개발한 기술로는 5~6개의 큐비트만 원격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40큐비트까지 제작한 구글과 IBM의 초전도 방식에 비하면 매우 작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