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달"(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 [Art Math] 인물의 생각을 도형으로 표현하는 엘렌 헥 Ellen Heak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위치에 온 것처럼 보이지만, 처음 위치는 아니에요. 즉 어떠한 생각을 해도 같은 결론에 도달하지 않아요. 그래서 두 바퀴째에는 같은 위치에 도착해도 조금 더 성숙한 생각으로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작품 시리즈를 하고 난 뒤부터 헥 작가는 도형을 본격적으로 자신의 작품에 녹이기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측면에서 AI가 사람을 앞선 것은 맞지만, 목적의 본질을 이해하는 사람의 능력에는 도달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어 “그림을 그리는 AI가 그림을 이해했다고 단언할 수 없고, 바둑을 하는 AI가 바둑을 이해했다고 단언할 수 없다”며 “이해하는 것과 아는 것은 다르다”고 했다. 인간은 바둑을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말했다. 특히 “순에너지 획득은 물리 이론은 물론 공학적인 뒷받침이 완성됐을 때나 도달할 수 있는 목표였던 만큼, 이번 성과가 핵융합 연구자들에게 희망을 준다”고 인류 최초 순에너지 획득의 의의를 설명했다. “때로는 우리가 뭔가를 알고 있다 해도 그걸 사용할 수 있는 걸로 전환하는 데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한 걸음. 그렇게 한 층, 두 층 오른다. 끝이 있다는 것을 믿어야 했다. 언젠가는 목적지에 도달하리라 믿으며 계단을 올랐다. 눈을 떴을 땐 10층이었다. ‘10년 전 당신은 어떤 사람이었나요?’ 상담사가 이렇게 물었을 때, 아무 답도 할 수 없었다. 목이 메었기 때문이다. 곧 죽을 사람에게 왜 이런 걸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에너지 생산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어요. 태양에너지가 지구 대기를 지나 지상에 도달하는 양은 우주 공간의 약 22%에 불과해요.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하면 태양에너지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낮과 밤 구분 없이 전기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솔라리스 위성 한 기로 ...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김 책임연구원은 “만약 달의 자전축과 공전축이 완전히 일치했다면 영구음영지역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거의 없어 탐사가 불가능했을 것”이라 덧붙였다. 섀도캠 개발을 담당한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 연구팀은 섀도캠 카메라의 민감도를 기존 달 정찰 궤도선 카메라보다 200배 향상시켰다. 이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셈입니다.'광음향 영상기술 1등이 되려면 현재 광음향 영상기술은 매우 중요한 시점에 도달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임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스타트업도 쏟아집니다. 하지만 광음향 영상기술을 실제 임상에 다양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선행돼야 합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그래서 보라색뿐 아니라 파란색 빛도 긴 대기층에서 모두 산란돼 우리 눈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 중에서 모두 사라져 버려요. 이때는 긴 파장인 붉은색이 대기층에 많이 존재해 우리 눈에 들어오죠. 하늘이 붉게 물들어 보이는 이유랍니다. 통합과학 넓히기노을 지는 순간, 햇빛에 숨어 있던 ...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연결하는 터널 형태의 공간이다. 우주선이 웜홀을 타고 이동하면 아주 먼 우주도 빠르게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웜홀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제기된 가상의 개념으로 아직 실존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웜홀의 실존 증거가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생각한다”고 했다. 지구상에서야 광속으로 움직이면 약 0.067초 안에 지구 반대편까지 도달할 수 있으니 이 한계는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큰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에 방문할 경우 이야기가 달라진다. 광속으로 달려도 250만 년 동안 뛰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