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답"(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나눌리, 진정한 마법사가 되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나눌리가 저주를 풀고 사람이 된 것을 축하하며, 선생님께서 마법 상자를 하나 건네주셨어요. 그런데, 상자는 꽁꽁 닫혀 있었어요. 나눌리가 선생님의 선물을 ... 있었지요. 마법약의 효과를 되돌리려면, 마법약에 적힌 곱셈과 나눗셈을 계산해 그 답에 맞는 색깔로 칠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 ...
- 이유 1. 킬러문항 정의는 제각각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오답을 유도하는 문제로 생각한다”고 했어요. 사교육계에선 수학 영역 문제 중 정답률이 한 자릿수인 것은 킬러, 그 이상부터 30%대인 것은 준킬러라 보는 시각도 있지요. 심지어 교육부가 6월 26일 킬러문항 예시를 발표하며 킬러문항 기준을 밝혔지만, 이에 동의하지 않는 의견도 적지 않게 ... ...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여러분이 이 숫자를 맞힐 확률은 얼마일까요? 자연수가 무한히 많으므로 가능한 정답의 가짓수는 무한히 많습니다. 하지만 제가 적은 수는 단 하나이지요. 따라서 확률은 무한 분의 1, 즉 0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확률이 0임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이 숫자를 맞히는 것은 분명히 가능했습니다.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후로도 mRNA 백신과 관련된 논문 수십 편을 발표하며 새로운 질문을 하고, 거기에 대한 답을 하길 멈추지 않았다. 과학자의 ‘한 발짝’은 때론 대를 이어 연결된다.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은 아토초(100경분의 1초) 과학을 개척한 과학자 3인에게 돌아갔다. 빛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시간을 극한으로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개념 먼저 다지고 문제 속으로 서울과학고 오유찬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지원했어요" Q. 서과고에 지원한 까닭이 궁금해요. ‘영재학교에 가면 빠르게 계산해서 답을 내야 하는 시험은 안 봐도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해서 지원했어요. 수학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을 것 같았죠. 또 초등학교 때 KMO 겨울학교에서 문제를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풀어내는 서과고 출신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관한 유명한 영화인 ‘인터스텔라’의 명대사를 통해 이 우려를 씻고 싶다.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단, 지적 호기심을 잊어버리지 않는다면….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실제 색약자에게 패턴으로 구분된 노선도를 보여줬더니 “오히려 더 복잡하다”는 답이 돌아왔다.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정보량에는 한계가 있어요. 현재 서울시에 있는 23개 노선에 모두 패턴을 부여하고, 이 패턴을 모두 구분하기란 어렵죠.”그래서 명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택했다. 명도를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제가 많은 것을 가르쳐주기보다는 학생들이 더 깊이 고민하도록 자극하고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험 자체는 대부분 일반고에서도 진행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제가 먼저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내용은 더 적고 직접 찾아보고 서로 토의하는 비중은 높다는 점에 과학고 ... ...
- 이유 2. 킬러문항의 수학 교육적 가치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방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는 좋은 문항이에요. 그래서 교육 전문가들은 오히려 무조건 정답률이 낮은 킬러문항을 없앨 게 아니라 수학 교육적으로 좋지 못한 문제를 걸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요. 2024학년도 수능 9월 모평 공통 12번 문항은 첫째항 a1을 자연수 k에 대해서 4k, 4k-1, 4k-2, 4k-3으로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의견이 갈리는 어려운 질문이에요. 그렇지만 저를 포함한 많은 수학자가 둘 다라고 대답해요. 수학은 100% 발명 혹은 100% 발견이라고 아주 극단적으로 이야기하기 쉽지 않아요. 저는 그 본질이 발명보다는 발견에 좀 더 가깝다는 의견이에요. 예를 들어 원주율 π를 생각해볼게요. π라는 그리스 문자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