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하학"(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배우는 기회가 됐습니다. 더불어 김 교수와 히로나카 교수를 통해서 배운 대수기하학적인 사고는 이후에 조합론 분야에서 다른 학자들이 가지지 못한 그만의 비장의 무기가 됐지요. 우리나라에서 정부 주도로 운영된 세계적 석학 초청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히로나카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방향입니다. 김현규 교수는 수리물리에서의 다양한 수학적 대상을 미분기하학,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대수학, 조합론 등 다양한 분야와 연결지어 연구합니다.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부르는 기하 구조를 연구하는데 수학의 여러 분야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에요. 김 교수는 본인의 ... ...
-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이러한 격자 모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것이 현대 확률론의 주요 분야가 됐고, ‘확률 기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출현으로 이어졌습니다. 2000년대에 이 분야를 이끈 대표적인 수학자로 오데드 슈람, 벤델린 베르너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교수, 그레고리 롤러 미국 시카고대학교 교수, ... ...
- [킹앤유] 확률로 물리 현상을 밝히다! 벤델린 베르너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확률 이론을 결합해 규칙별 무작위 행보마다 가질 기하학적 특성과 2차원 브라운 운동의 기하학적 특성을 연구했어요. 베르너 교수의 이러한 연구는 물리학에서 관심있는 주제인 ‘두 개의 상이 맞닿아 있는 물질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요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수학자 잔카를로 로타가 리드 추측을 일반화해 제시한 문제다. 허준이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호지 이론’을 통해 로타 추측을 증명했다. ※오목로그란.로그-오목은 계수에 로그를 씌웠을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오목한 형태를 보이는 성질을 뜻한다. 로그-오목은 절댓값 단봉 패턴을 포함하는 더 ... ...
- [필즈상 수상 소감] “낯설고 무게감 느껴져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과거 인터뷰마다 필즈상을 ‘아주 높은 확률’로 받지 못할 거라고 이야기하셨는데요. 그 필즈상을 받으셨어요. 소감이 어떠신가요? A. 수상 소식을 듣자마자 가장 먼저 ‘잘 됐다! 부모님이 좋아하시겠다’고 생각했어요. 좋아하는 일을 하며 의미 있는 상을 받아 기쁘고, 분수에 넘치는 일이 ...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발표가 끝난 뒤, 세르게이 포민 미시간대 교수가 “우리 학교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을 연구하는 교수들이 많아서 수학자로 성장하기 좋을 거다”라면서 미시간대로 옮길 것을 제안했어요. 그래서 학교를 옮겼습니다. 사실 2009년에 미시간대 박사과정에 지원했었는데 떨어졌거든요. 이 사실을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 본격적으로 허 교수가 해결한 주요한 문제들을 살펴봅시다. 조합론의 고전적인 문제로 ‘4색 정리’가 있습니다. 평면지도에 있는 모든 나라를 4가지 색만 써서 구분해 색칠할 수 있는지 묻는 것입니다. 1852년 영국의 대학생이던 프랜시스 구드리가 지도를 관 ... ...
- 한국과 인연이 깊은 수학자부터 폴리매스 수학자까지! 별별 필즈상 수상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허준이 교수는 수학의 매력을 깨닫고 수학과 대학원에 진학해 히로나카 교수와 같은 대수기하학을 전공했지요. 허 교수님에 따르면 히로나카 교수님은 한국식 고기 구이를 좋아해서 종종 서울대 근처 고깃집에 같이 갔다고 해요. 1994년 필즈상 수상자인 예핌 젤마노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받은 것을 축하합니다! 감사해요. 이렇게 큰 상을 받다니 정말 놀랍네요. 현대 대수기하학의 창시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같은 위대한 수학자와 같은 상을 타다니 실감 나지 않아요. 훌륭한 후보들 사이에서 제가 뽑힌 것은 행운이라고 생각해요. Q. 교수님의 연구는 정수론의 오랜 문제들과 관련이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