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한
절정
한계
극치
정점
최고조
최상
d라이브러리
"
극도
"(으)로 총 3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집중적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슬럼이 생기는데, 이곳이 문제다. 인구 밀도는
극도
로 높은 대신 위생시설 등 질병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마이크 데이비스 UC어바인 역사학과 교수는 ‘슬럼, 지구를 뒤엎다’에서 “미래 세계 인구 증가분의 4분의 3을 짊어질 ... ...
퍼펙트 센스 - 모든 감각을 잃은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인류가 직립을 하고 도구를 쓰면서 후각의 중요성은 낮아졌다는 설명이다. 후각이
극도
로 발달한 개에 비교하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포유류나 파충류에 비해 인간의 후각은 열등하다. 야생 동물들이 생존에 필요한 먹이를 찾기 위해 후각을 활용하는 것과 달리 인간이 생존을 위해 필요한 것은 ... ...
PART 1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파악하지 못하고 함정에 빠지면(t) 관객은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 거라는 생각에
극도
의 긴장감을 느낀다고 해요. 어쩐지 영화 속 주인공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곳에 꼭 제 발로 찾아가더라고요. 다 이유가 있었어요.이렇게 얻어진 4개의 변수 es, u, cs, t를 더한 뒤 제곱해요. 4개의 변수는 긴장감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사망연령을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한겸 교수는 “한국미라는 보존상태가
극도
로 우수해 다양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한겸 교수팀이 오산에서 발견된 미라 두 구를 동시에 검사하고 있다. 앞쪽에 있는 미라는 기자가 발굴에 참여했던 오산 6미라, 뒤쪽에 있는 미라가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나타나며 수면장애에 시달린다. 사건에 대한 기억을 억지로 잊으려고 노력하다가
극도
로 긴장해 예민한 상태가 되기도 한다. 동료들의 거의 다 죽고 자기 혼자 살아남았다는 이유로 죄책감에 빠지는 사람도 있다. 결국 불안장애나 우울증, 정신분열 같은 다른 정신질환이 생길 수 있다. 트라우마를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자리를 잡아야했지요. 반면 반(半)기생생활을 하는 난초류는 숙주를 만나야 하므로 씨를
극도
로 작게해 개수를 늘린 셈이죠. 가장 작은 난초 씨앗의 경우 1g에 200만 개가 넘으니까요.사소한 일에 지나치게 신경쓰는 사람을 ‘좁쌀영감’이라고 하고 약간의 믿음이라는 뜻으로 ‘겨자씨만 한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그 비율은 0.1%에도 미치지 못했다. 옌센 대표는 “미국에 비해 보수적이고 변화에 대해
극도
의 거부 반응을 보이는 유럽이 GMO 경작을 허용한 것은 본격적인 GMO 시대가 열렸다는 사실을 의미한다”면서도 “식용으로는 아직까지 금지돼 있다는 것은 주목해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실제로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독자적으로 생존해 나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
극도
로 작은 수의 개체군은 불안정한 상태이고, 근친교배로 인해 건강한 자손을 이어가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설사 남한에 호랑이가 살아 있다고 해도 이동경로가 휴전선에 막힌 이상 자력으로 살아갈 방도가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놀라서 이동경로를 이탈했다. 김 박사는 “멧돼지는 사람을 두려워하고, 사람 냄새를
극도
로 싫어한다”고 설명했다. 즉 멧돼지는 등산객을 피하려 도망가다가 산 끝까지 내려왔을 가능성이 크다.사냥 외 포획 틀도 고려해야이에 정부가 멧돼지와의 전쟁에 나섰다. 환경부는 최근 동물 전문가와 16개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파장보다 큰 물체까지만 식별할 수 있고 원자까지 관찰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도
극도
로 얇은 물체만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제정호 교수가 이끄는 X선영상연구단에서 개발하고 있는 현미경이 바로 X선현미경이다. X선현미경은 사물을 꿰뚫어 볼 수 있고 더 작은 세계까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