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상"(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일이다(그는 훗날 나로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KSR-Ⅲ의 핵심 구상은 소형 가압식 액체엔진을 개발하고 그것을 다발로 묶어 아주 큰 추력의 1단을 구성함으로써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로켓과 같은 거대 복합 체계종합시스템에서 ... ...
- 빅데이터, 시험, 감옥… 세상에서 하나 뿐인 주기율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 공고를 보고 지원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Q 아이디어는 어떻게 구상했나?작년에 ‘한국중학생화학대회(KMChC)’에 참가하면서 화학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됐습니다. 또래 친구들이 더 쉽게 화학에 접근할 수 있도록 친근한 주기율표를 만들고 싶어서 그림을 적극 ... ...
- [수학공부 꿀팁] 슈퍼히어로에게 배우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단조로워서 학생들이 흥미를 못 느낀다고 생각해 재밌는 영화를 이용한 스토리를 구상했다. 학생들의 반응은 굉장히 좋았다. 서로 역할을 맡아 대사를 하고 싶어 하는 건 물론, 캐릭터가 낸 문제를 풀기 위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학생들만 좋아한 게 아니었다. 초등 교사들이 이용하는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ArXiv.org)’에 발표했다. doi: arXiv:1901.09542 마린 연구원은 “세대 우주선은 현재의 기술로 구상할 수 있는 현실적인 계획”이라며 “다음 연구는 물을 어떻게 얻을지 계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 기술로 세대 우주선을 만든다면? 프레데릭 마린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천문관측소 연구원은 세대 ... ...
- [화보] 회색 도시를 빛으로 물들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공연 극장 입구 위의 유리에 컬러 필름을 붙여 입구를 돋보이게 했다. 뷔렌은 작품을 구상할 때 시간에 따른 빛의 변화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한다. 낮에는 햇빛을 받은 컬러 필름이 건물 전체 분위기와 조화롭게 어우러지게 하고, 밤에는 건물의 실루엣 없이 내부 조명을 이용해 컬러 필름만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주기율표가 탄생했다. 118개 원소 전부 담지 않아도 돼 학생들이 나만의 주기율표를 구상할 때 공통적으로 어렵게 느낀 부분은 바로 기존 주기율표의 존재였다. 이미 모범 답안이 나와 있는 상황에서 이를 벗어나 새로운 발상을 하기가 쉽지 않았다. 강 교사는 “주기율표는 150년이라는 긴 시간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다음엔 상상력이 필요해요. 내가 만들고자 하는 큰 그림을 짜고 처음부터 끝까지 단계를 구상하고 필요한 명령어를 조립할 수 있어야 하죠.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조언해 주세요.언젠가 소프트웨어 전시회에 참석한 적이 있어요. 그때 전세계의 훌륭한 프로그램들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해저확장설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사실 맨틀의 대류로 대륙이 이동해간다는 구상 자체는 이보다 앞서 영국의 지질학자 아서 홈즈 등에 의해 제안된 바 있지만, 오늘날 헤스 교수를 해저확장설의 주창자로 기억하게 된 것은 그가 해령에 관한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해저 확장 모델을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마이크, 스피커, 동영상 재생을 위한 패드가 장착된 로봇으로 구상됐습니다. 두 다리 포기하고 ‘옴니휠’ 달아 다음은 앨리스-에리카를 구체적으로 설계할 차례였습니다. 키 130cm에 시속 약 4km로 움직이는 인간형 로봇을 만드는 것이 기본 사양입니다. 아직까지 ...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제안해야 한다. 통과된 팀은 이 아이디어를 어떤 기술로 실현할 것인지 프로토타입을 구상해 심사를 받아야 한다. 여기서 통과하면 이 프로토타입이 중력이나 온도, 대기 상태 등 달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지 심사를 받는다. 마지막 관문은 4개 기술마다 최종 한 팀씩 선정해 실제로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