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로"(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효과를 확인한 사례도 학계에 보고됐다. 콜먼 교수와 프리드먼 교수는 렙틴을 발견한 공로로 2010년 미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래스커상을 수상했다.하지만 수수께끼 같은 문제가 남아 있었다. 대부분의 비만 환자에게 렙틴을 투여해도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이었다. 또 비만한 사람에서는 대부분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살아 있는 세포 같은 매우 작은 물체를 붙잡을 수 있는 기술로, 애슈킨 연구원은 이 공로로 201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광학 집게는 세포나 박테리아만큼 매우 작은 물질을 집어낼 수 있어 지금도 생물물리학의 중요한 기술로 사용된다. 강 씨는 “국내에서는 기초물리학을 입자, 광학, 고체 ... ...
- [이달의 과학사] 조슬린 벨 버넬, 펄서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회전축 방향으로 강한 전자기파를 뿜어내지요.앤터니 휴이시 교수는 펄서를 발견한 공로로 1974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습니다. 하지만 처음 펄서의 신호를 찾아낸 조슬린 벨 버넬은 노벨 물리학상을 받지 못했어요. 이 사건은 노벨상의 역사에서 가장 큰 실수 중 하나로 알려졌지요.현재 영국 ... ...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할 수 있었던 데는 지난 몇 년간 기생충이 그리 나쁜 애들이 아니라고 떠들었던 필자의 공로도 조금은 있다고 말이다. 기생충은 열심히 산다? 흔히 기생충을 게으르다고 생각한다. 하는 일 없이 놀면서 양식만 축내는 이들을 기생충이라 부르는 것도 이런 통념에서 연유한다. 하지만 실제 기생충은 ... ...
- [수학뉴스] 아벨상 수상자 루이스 니런버그 96세 나이로 타계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학위를 받았습니다. 니런버그는 편미분방정식 분야에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만 90세가 되던 2015년에 아벨상을 수상했습니다. 아벨상은 2003년 노르웨이학술원이 유명한 노르웨이의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만든 권위있는 상으로, ‘수학계의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종과 북, 징을 치는 방식이다. 15세기 조선에서 이토록 첨단 과학기구가 개발됐다니. 이 공로로 장영실은 종4품 호군이 됐다. 장영실은 자격루 외에 ‘앙부일구’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등 다양한 해시계도 개발했다. 정확한 시간을 찾다장영실의 물시계와 해시계는 시간을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내에서 신경 접착 단백질 등의 분자가 다양한 물질 수송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밝혀낸 공로로 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쥐트호프 교수는 최초의 시냅스 접착 단백질인 ‘뉴렉신(Neurexin)’을 1992년 발견했고, 1995년에는 ‘뉴로리긴(Neuroligin)’을 추가로 발견했다. 그는 두 단백질이 신경세포의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페드큐 교수는 스타워즈와 캐리비안의 해적, 해리포터 시리즈 등의 특수효과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아카데미 특수효과상을 수상했다. 어떤가. 이 정도면 스타워즈 시리즈를 관객들이 생생하게 즐기는 데 수학이 큰 공을 세웠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번에 개봉한 최종편을 보는 독자들은 곳곳에 ... ...
- [노벨화학상] 전지에 혁명이 일어나다, 리튬 이온 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과학자들이 성능 좋은 전지를 개발한 덕분에 선 없는 전자제품의 시대가 열렸어요.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세 과학자는 올해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지요. 현재 과학자들은 소재를 조금씩 바꿔 배터리의 성능을 높이는 연구를 계속하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노벨상에 앞서 발표된 ‘별별 과학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보건대학 노엘 로즈 교수는 자가면역반응을 처음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황금거위상을 수상했답니다. 이런 연구들은 발표 당시 비웃음을 샀지만 인류의 건강에 큰 기여를 했어요. 투구게의 피는 우리 몸에 들어가는 주사액이 세균에 감염됐는지 확인하는 시약으로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