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료
퇴비
두엄
똥
여과
마소 똥
d라이브러리
"
거름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약 10㎛의 폴리에틸렌
거름
막은 직경이 0.01㎛정도의 불순물까지도 걸러낼 수 있다. 이런
거름
막들은 대장균 같은(크기가 대략 1㎛) 세균류는 모두 걸러버릴 수 있으나, 바이러스는 보다 더 작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투과된다.이외에도 작업과정을 계속 감시하기 위한 현미경(비디오카메라 부착),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자, 친근한 자, 가까이 있는 자에게만이 본연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 농촌에 가서
거름
을 뒤지는 등 엉뚱한 짓을 하면 처음에는 오해하지만, 자세히 설명해주면 호기심을 갖고 도와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어릴적 자연교과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골길에서 쇠똥굴리는 왕쇠똥구리가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경우도 마찬가지다. 농약을 안 주거나 또는 아주 적게 주는 논밭에서 주로 퇴비를
거름
으로 쓴다면 땅속에서 온갖 벌레가 나온다. 가장 흔한 것이 지렁이 땅강아지 장구벌레 방구벌레 등의 애벌레와 굼벵이류(매미의 유충)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계속되는 농약살포와 화학비료들로 인해 ... ...
도도새 같은 죽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않는 나무가 있다. 도도의 위산이 그 씨를 마구 괴롭혀서 드디어 땅속에 묻히게 되면(
거름
과 함께 ) 싹을 틔우는 것이다. 마우리티우스에 있는 이러한 유형의 모든 나무는 이젠 적어도 3백년이상의 고목들이다. 새로운 나무의 싹은 돋아나지 않을 것이며 결국은 그 나무들도 '도도새 같은 죽음'을 ... ...
여우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사냥개를 따돌린다. 특히 여우는 자신의 독특한 체취를 지워버리기 위해 악취가 나는
거름
통이나 쓰레기더미 등에 몸을 굴리고 나서 달아나기도 한다. 참으로 얄미울 정도로 영리한 동물인 것이다.동물원의 여우사(舍) 근처에 갔다가 여우의 몸에서 나는 냄새 때문에 비위가 상했던 사람들을 흔히 ... ...
원예 꽃을 가꾸며 보낸 40년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나는 구두를 신을 일이 별로 없었다. 그때만 하더라도 운동화는 귀했고 온실에서 물주고
거름
주고 밭에서 북주고 풀매고 하는 데는 고무신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것은 나만이 아니라 시험장 모든 직원이 그랬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나는 그 구두를 5년이나 신었다.학교에서 강의를 의뢰해 ... ...
환경학자들을 놀라게 한 인도「비슈노」족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초래할수 있다는 것을 이부족은 잘 알고있다. 또한 다른 부족과는 달리 가축의 분뇨를
거름
으로 쓰지 않는데 이는 분뇨가 장기적으로 토질의 산성화를 초래하기 때문. 이밖에도 비슈노족은 수준높은 생물학적 지식을 갖고 사막생활에 적응하고 있어 인도정부는 비슈노족의 생활방식을 다른 힌두나 ... ...
전공을 두번 바꾼끝에 통계학에 정착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한문을 잘 공부해 두었으면 한다. 한문공부는 국어실력의 밑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거름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중고등학생기간중의 추억 중에서 잊혀지지 않는 3가지의 추억이 있다. 첫번째가 중3, 고1때에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을 통하여 농촌봉사활동을 한 것이다. 그 당시에는 농촌이 매우 살기 ... ...
콩나물의 식품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잘 자라지 않는다. 이것은 지하수나 자연수에 녹아있는 여러가지 무기염류가 일종의
거름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썩지 않도록 하기 위해콩나물에 약품이 쓰이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이며 왜 그렇게 되었을까.콩나물에 약품을 쓰기 시작한 역사는 이미 오래다. 그 시초를 따져 보면 ... ...
무공해 식품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혼합, 30일간(하절기 기준)발효시킨다. 이렇게 만든 톱밥퇴비는 보통의 퇴비보다 3.5배나
거름
기가 오래가고 독성이 전혀 없어 토양을 기름지게 만들어준다고 한다.3천평의 밭에서 연중 채소재배를 하고 있는 박영수씨는 요즘 아욱과 상치를 주로 재배하고 있는데, 상치의 경우 남들보다 35%가량 ... ...
이전
6
7
8
9
10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