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수"(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410
- 보통 한파는 북극진동지수가 음의 상태일 때(기압 차이가 약해질 때) 나타난다. 북극진동지수가 크면 북극의 차가운 공기가 극 소용돌이에 갇혀서 빠져나오지 못하지만, 세기가 약해지면 찬 공기가 중위도로 내려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 북극진동이 약해지고, 찬 공기가 중위도로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따뜻하고 부드러운 스킨십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스킨십하면 스트레스 DOWN! 행복지수 UP!으악~! 내가 사고를 쳤어! 팀을 나눠 축구시합을 하는데 자책골을 넣었거든. 으…. 너무 부끄럽고 미안해서 고개를 들 수 없었어. 이런 내게 같은 팀인 주영이가 다가와 괜찮다며 손을 잡아 주었어. 그러자 ...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09
- 지수가 22.61%나 하락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있었다. 몇몇 투자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주가 지수 하락에 대한 불안감이 순식간에 많은 투자자들에게 확산되면서 일어난 일이었다. 금융계에서는 이 날을 검은 월요일이라는 뜻의 ‘블랙 먼데이’라고 부른다.최근에는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해 감정 분석을 ... ...
-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1408
- 전자파는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 1940년대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복소수와 지수함수를 이용해 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지금도 널리 쓰이고 있는 ‘경로적분’인데, 어느 한 시각에 B점에 도착하는 모든 경로의 영향을 합하면 B에서의 파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파를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08
- 빼놓을 수 없다. 지난 2006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상한 테렌스 타오는 지능지수가 무려 225~230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테렌스 타오는 세계수학올림피아드 최연소 출전과 최연소 입상 기록도 가지고 있다. 1975년생인 타오는 11살 때 처음으로 세계수학올림피아드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07
- 가동 전후인 2011년과 2012년, 시화호 안쪽과 바깥 바다의 해역에서 수질을 측정해 WQI 지수가 얼마나 감소했는지 연구해 그 결과를 2013년 5월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시화호 안쪽의 WQI는 2011년에 53으로 4등급(나쁨)에 해당됐지만, 발전소가 가동된 이후(2012년) 42 ... ...
- [수학뉴스] 비누막에서 찾은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407
- 표면의 넓이가 급격히 좁아지는 지점에서는 비누막을 구성하는 입자의 이동 속도가 지수함수꼴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곡면의 모양에 따라 비누막이 터지는 지점을 예측할 수 있는 복잡한 방정식을 얻었다.연구팀을 이끈 골드스타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태양에서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07
- $t$에 따라서 $φ(t, x, y, z)$=${e}^{ct}f(x, y, z)$와 같은 식으로 변해간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지수함수의 성질에 의해서 상수 $c$가 0이 아닌 실수인 경우에는 시간 $t$가 커짐에 따라서 해는 0($c$<0 경우)이나 무한대($c$>0 경우)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핵 주위를 맴도는 평형상태를 나타내려면 $c=bi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띠는 의미 있는 기억은 자서전적 기억으로 편입되고, 나머지는 사라진다), 그 과정이 지수함수적인 양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특별히 초기에 더 많은 기억이 한꺼번에 사라지는 것처럼 ‘착시’가 일어난다는 것이다.예를 들어보자. 5세부터 기억이 쌓이기 시작해 7세경에 도달했을 때 약 1년치(즉 ... ...
- [시사] 생생포착! 위기의 야생동물들수학동아 l201404
- 멸종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종의 능력을 지수화한 세이프(SAFE)지수를 만들었다.이 지수에 따르면, 멸종 위기를 벗어날 수 있는 최소 개체 수는 5,000마리이다. 연구팀은 이보다 개체수가 적다면, 갑작스러운 천재지변 등에 종이 몰살당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는 현재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