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온몸
혼신
사지육체
전서
일신
전신요법
요법
d라이브러리
"
전신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 생물의 낙원 츄라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4
돌기들 덕분이에요. 이 돌기가 물의 마찰 저항을 줄여 주기 때문이죠. 여기에 착안해서
전신
수영복도 나왔답니다. 불가사리 체험극피동물의 특징이 무엇일까요? 딱딱한 껍데기로 둘러싸여 있고, 몸은 방사대칭 모양이죠. 불가사리, 해삼, 성게 등이 여기에 속해요. 츄라우미수족관에서는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12
보이는 미묘한 구조들에 대한 연구였다. 만델브로는 다른 공학자들과의 연구에서
전신
선으로 신호를 전달할 때 발생하는 노이즈에 칸토어 집합과 유사한 구조가 있음을 알아냈다. 그는 나중에 리처드 보스와의 공동 작업에서 이를 더욱 발전시켰다. 리처드 보스는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12
반드시 두뇌가 움직인다. 이런 뇌의 활동을 측정해 여러 분야에 응용하는 기술이 BMI다.
전신
장애인이 BMI 헬맷을 쓰고 전동 휠체어와 로봇 팔, TV 모니터를 조작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맞춤의학외골격 로봇미생물 바이오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11
발목까지 감싸는
전신
수영복을 최초로 개발한 뒤부터 수영복의 진화가 빨라졌다. 이
전신
수영복은 나일론(72%)과 신축성 소재인 라이크라(28%)를 혼합한 소재로 만들고 테플론으로 코팅했다. 맨몸으로 수영할 때 피부 표면의 질감과 털 때문에 일어나는 저항을 줄일 수 있었다. 또 수영복으로 온몸을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현판 크기로 출력해 오 각자장에게 제공했다. 백 교수는 “5년 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신
인 한국문화재연구소를 방문해 유리원판 사진을 스캐닝했던 자료와 한국문화재연구소에서 도쿄대를 방문해 스캐닝을 해 온 사진자료를 합쳐 현판 글씨를 복원해 냈다”고 설명했다.공사 대부분이 끝났지만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08
개처럼 다른 동물을 물려고 하지는 않는다. 물린 상처를 중심으로 근육이 마비되고 점점
전신
이 마비되면서 죽어간다. 코가 간지러운 탓에 재채기를 하는데, 광견병 바이러스가 침 대신 공기 중으로 나와 퍼지는 방법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광견병은 다른 개체에게 전염이 된다는 점과, 감염되면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06
모양의 쟁반에는 세척을 마친 유골들이 놓여 있었다. 머리뼈와 어깨뼈, 넓적다리뼈 등
전신
의 뼈가 90% 이상 남은 ‘완전유골’부터 몇 명의 것인지 모를 만큼 넓적다리뼈만 수북이 쌓인 경우도 있었다. 매일 감식관들은 뼈 부위별로 굵기나 길이를 재고 치과 치료 흔적이나 뼈가 부러진 흔적처럼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05
팔, 다리 순으로
전신
이 마비돼 말을 못하게 되고, 뒤이어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전신
에 힘이 빠지고 맥이 풀린다. 혈압이 점점 떨어지고 호흡이 멈추면서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복어 독에 중독되면 동치미나 김치 국물을 마시면 된다는 속설이 떠돌기도 하지만 사실상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04
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해 한국 천문학의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신
인 국립천문대 건설과 한국우주과학회 창립을 주도하며 한국 천문학 발전과 함께했다. 조 박사가 무엇보다 기여한 부분은 과학 대중화였다. 시원한 웃음과 카랑카랑한 목소리에 풍부한 지식을 갖춘 조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03
진행하기 전부터 우주복의 모체는 개발되기 시작했다.실제로 오늘날 우주복의
전신
은 군사 목적으로 높은 고도를 날아야 하는 정찰기의 조종사들의 옷에서 가져왔다. 한국전쟁이 끝난 뒤 고고도(高高度) 전투기를 개발하는 데 주력해온 미 공군과 해군은 비행 중 급격한 압력 변화를 겪는 조종사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