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과거
고릿적
옛적
지난날
왕년
의식
d라이브러리
"
예전
"(으)로 총 1,114건 검색되었습니다.
명태 vs 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2
대구와 꼭 닮았답니다.그런데 요즘엔 식탁에서 우리나라 명태를 만나기 어려워요.
예전
엔 우리나라 동해에서 명태가 많이 잡혔기 때문에 명태가 ‘국민 생선’이 됐지만, 1970년대 이후 명태 어획량이 급격히 줄었거든요. 결국 2008년엔 우리나라에서 명태를 한 마리도 볼 수 없게 됐답니다.다음부터 ... ...
미래를 엿보다!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버튼만 누르면 얼굴을 보며 통화하는 화상통화를 할 수 있어. 하지만
예전
엔 상상 속에서나 가능하던 일이었대. 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한 미래에 우리생활은 또 어떻게 바뀌게 될까?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에서 미래를 엿볼 수 있다는 소식에 우리가 출동했어. 지금 바로 미래를 만나러 가자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漢(한)字(자) 과학 (科學)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상형문자예요. 태양(日)에서 위 아래로 삐죽 튀어나온 것이 번개의 모양을 본뜬 거지요.
예전
에는 ‘펼 신(申)’을 번개의 뜻으로 썼지만, 申이 다양한 뜻을 갖게 되면서 申에 ‘비우(雨)’를 더한 ‘전(電)’을 번개의 뜻으로 쓰게 됐어요.한편, ‘아들 자(子)’는 어린 아이가 두 팔을 벌리고 있는 ... ...
2015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탐사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0
열린 만큼 태화강에 살고 있는 어류 친구들을 찾는 것이 중요했어.태화강은
예전
에는 생물들이 살기 힘든 곳이었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을 기준으로 보면 1996년에는 11.3ppm으로 6등급의 더러운 물이 흐르고 있었거든. 하지만 2008년 태화강 하류 일대를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선정하고, 태화강 ... ...
생명력이 꿈틀꿈틀~! 생물의 구조와 기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9
다른 말로 ‘자연모사’라고도 불러요.이렇게 생체모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사례는
예전
부터 많았어요.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고속철도인 KTX-산천은 우리나라의 계곡과 강을 빠르고 조용하게 누비는 ‘산천어’의 유선형 머리 모양을 본떠 만들었어요. 흔히 ‘찍찍이’라고 부르는 밸크로 ... ...
도체 (導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9
만들어진 글자예요. 내 손을 보태 다른 사람이 목적지에 도착하도록 돕는다는 뜻이지요.
예전
에는 ‘인도할 도(導)’와 ‘길 도(道)’를 같은 뜻으로 썼어요. 무언가가 지나가는 길 또는 무언가를 인도하다는 뜻을 모두 나타낸 거예요.금속이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전자가 이동하게 돕는 길 ... ...
달나라 옥토끼배 송편대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8
식용색소와 색을 내는 식재료를 사용해 알록달록한 송편은 만들고 있어요. 그러나
예전
에는 흰색과 녹색, 두 가지 송편을 만들었어요. 녹색 송편을 위해서는 다양한 식물을 이용했어요. 대표적인 재료가 바로 ‘쑥’이지요. 반죽에 쑥을 넣으면 녹색이 나는데다, 쑥의 향까지 어우러져 아주 맛있는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5
그런데 최근 도시에서는 매미가 여름밤을 시끄럽게 만드는 불청객이 되고 말았어요.
예전
보다 노랫소리도 점점 커졌고 밤낮없이 울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왜 도시에서 매미 소리가 더 크게 들리는 걸까요?도시에 많이 살고 있는 말매미많은 전문가들은 도시에서 매미 소음이 커지는 이유가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
과학동아
l
201512
일상생활에서 먹는 양으로는 몸에 해가 없다는 뜻입니다. 글루탐산은 다 똑같아
예전
에 단맛은 우리 몸의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을 찾기 위해서 생겨난 맛이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짠맛은 소금을 찾는 거지요. 그럼 MSG가 내는 감칠맛은 무엇을 찾는 걸까요. 바로 단백질입니다. 식품전문가인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12
녹화, 사진 찍기처럼 다양한 기능이 팝업으로 뜬다(오른쪽 사진). 바로 ‘3차원 터치’다.
예전
에는 컴퓨터나 기계를 움직이려면 키보드와 마우스가 반드시 필요했다. 하지만 지금은 화면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손바닥으로 쓸어버리는 듯한 제스처로도 명령을 내릴 수 있다.손가락 제스처 인지하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