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d라이브러리
"
밭
"(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01
생물처럼 번식이라도 한 걸까. 다윈은 지렁이의 똥에 주목했다. 그가 재를 뿌려뒀던
밭
은 새로운 흙층이 생겨 표면에는 재가 없었지만, 지렁이가 치약을 짜놓은 듯 만들어놓은 배설물 안에 재가 섞여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곳곳에서 지렁이 똥을 모아 조사했다. 거기에 든 흙은 땅속에 있는 ... ...
달력 그림에서 찾은 별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9
그려져 있어요. 이번 달에 해당하는 10월(113쪽)에는 루브르 궁전 앞에서 다음 농사를 위해
밭
을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지요. 재미있는 것은 4월과 5월, 그리고 6월 그림이에요(아래). 4월 그림에는 멀리 보이는 성을 배경으로 베리 공작의 손녀인 열한 살짜리 여자 어린이의 약혼식 장면이 그려져 있어요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12
해부해봤다. 축은 열대해양성 기후로 연중 수온이 27~32℃로 따뜻하다. 또 산호초, 잘피
밭
, 맹그로브 숲처럼 어류들이 잘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있다. 우리나라에 1085종의 어류가 있는데 반해 축은 3600여 종의 어류가 있다. 해부한 물고기 중에는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빛깔의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10
보라고 알려 주시는 거야. 교수님을 만나기 위해 부랴부랴 달려갔지. 그런데 정말로 잔디
밭
에 빌라니 교수님께서 계셨어. 어찌나 신기하고 가슴 설레던지. 사실 시상식장에서 뵈었지만 그때는 사람도 많았고 멀리서 봐서 그런지 이런 느낌은 아니었어. 또 이렇게 가까이에서 이야기를 나누게 될지는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09
생태계가 안정하다. 일반적으로 종다양성이 높은 군집은 안정성이 높다. 논과
밭
같은 경작지의 경우 생태계를 구성하는 종 다양성이 낮아 생태계의 안정성이 매우 낮다.생물농축생물농축은 유기화합물이나 중금속이 물이나 먹이를 통해 생물체내에 들어와 분해되지 않고 잔류하는 현상이다.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08
헤벌린 입에 파리가 들어가도 모를 정도로 넋이 빠진 그는 눈동자마저 흐리멍덩했다.
밭
에 나가던 안젤리나는 흐느적거리며 걸어오는‘느려터진 형체’가 누구인지 가까이 다가와서야 겨우 알아보고 비명을 질렀다. 그는 18년 전에 죽은 안젤리나의 오빠, 클레어비우스 나르시스였다.아이티의 어느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자연적인 강은 이런 범람원을 스스로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이 마을을 세우거나
밭
을 일군 경우에는 강의 땅이 부족하다. 강 주변에 건설 중인 ‘생태공원’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런 경우 마을이나
밭
, 공원을 범람원 ‘밖으로’ 옮겨야 한다. 지역 주민들 사이의 합의가 필요한 대목이다. 또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05
담긴 흑백사진 40장도 들어 있다.얼음 없는 세상헨리 폴락 지음 | 선세갑 옮김 | 추수
밭
| 328쪽 | 1만 3800원이 책은 ‘얼음’으로 지구의 지질학적 역사를 설명하고, 온난화로 얼음이 사라진 최악의 미래를 경고한다. 노르웨이의 로알 아문센처럼 극지방을 정복한 탐험가의 이야기부터 남·북극과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5
빙 연구원은 선후배 연구원들 사이에서 가장 새를 잘 보는 베테랑으로 불린다. 멀리
밭
한가운데서 순간 ‘파드득’ 하고 날아가 버리는 작은 새를 가리키자 신기하게도 단번에 이름을 알아맞힌다. “유리딱새네요.” 딱새과의 이 새는 섬을 찾는 여러 새 중에서도 가장 빨리 찾아온다.철새 연구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05
강바닥은 부유물로 뒤덮이고 물에서는 악취가 풍긴다. 무분별한 골재채취로 인해 자갈
밭
을 찾는 일이 더욱 어려워졌다.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황복이 올라갈 강줄기를 막고 있는 보와 댐이다. 대규모의 간척사업과 강 하구에 설치되는 방조제는 황복의 출입 자체를 막아버렸다. 치어를 방류하고,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