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윗돌
큰돌
암석
돌
암벽
암반
록
d라이브러리
"
바위
"(으)로 총 70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서 발견된 동물 다리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생겼다고 무척 좋아했는데…. NASA 과학자들은 이것이 풍화작용으로 뼈 모양처럼 깎인
바위
의 모습이라고 발표했답니다. 정말이냐고요? 지금까지 제가 화성 곳곳을 탐사했지만, 이만한 ‘다리뼈’를 가졌을 만큼 커다란 동물이 살았다는 흔적을 하나도 못 찾았거든요. NASA 과학자들은 만약 화성에 ... ...
[화보] 자세히 보아야 아름답다 모래 알갱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7
보드라우면서도 까칠한 모래는 아주 작은 알갱이들의 모임이에요. 산의 거대한
바위
나 강의 돌멩이들이 ‘풍화작용’에 의해 작게 더 작게 쪼개지고 다듬어지면서 모래가 됐지요. 8월 1일자 올백사이언스를 본 친구들이라면 풍화작용에 대해서는 다 알고 있겠죠? 광물들만 모래를 ... ...
[가상인터뷰] 판다가 대나무만 먹고 살 수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음식도 잘 챙겨 먹는답니다. 대나무뿐만 아니라 죽은 소나 티벳영양 고기를 뜯어먹거나
바위
를 핥기도 해요. 몸에 부족한 단백질이나 칼슘을 얻기 위해서지요. 과학자들은 평지에서 살았던 우리들이 사람들에게 쫓겨 산지에서 살게 되면서 다른 육식동물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대나무를 먹기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국철이 운영하는 선
바위
역부터 오이도역까지 교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남태령과 선
바위
사이 구간에서 직류가 교류로 바뀌게 되어요. 혹시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안내방송이 나오며 갑자기 전등이 꺼지거나 빛이 약해져도 놀라지 마세요. 전동차가 먹는 전기의 종류가 바뀌는 것뿐이니까요. 차를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4
곳 살피기!물에 들어가기 전에 수심이 갑자기 달라지는 곳이 있는지, 물속에 감춰진
바위
가 있는지, 물살이 너무 빠르지는 않은지 등을 먼저 살펴본다. 내 키에서 배꼽 정도 깊이의 물에서 노는 것이 좋다.05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려고 뛰어들지 않기!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려고 물속에 뛰어들었다가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
과학동아
l
201412
자포동물인 산호가 죽으면 단단한 탄산칼슘만 남아서 마치 석회석과 같은
바위
가 된다.
바위
위에 산호가 부서져 생긴 모래가 쌓이고, 그 위에 야자수가 자라난다. 망망대해에서 동물 시체 위에 몸을 의지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기분이 묘했다.“환초 바깥에서 스노클링 해보면 안 돼요?”해맑은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0
일부 돌고래가 입에 천연 해면 스펀지를 물고 헤엄치는 모습이었지요. 수영하다가
바위
에 부딪히거나 뾰족한 조개껍데기가 파도에 날아와도 다치지 않기 위해서지요.도구를 사용하다니 정말 영리하구나! 사람과 닮은 원숭이들은 더욱 똑똑하겠지?하하, 우리는 사람처럼 손이 있어서 도구를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
과학동아
l
201410
수시로 들립니다. 1970년대에는 바이킹 1호가 화성에서 찍은 사진에 사람 얼굴과 닮은
바위
가 있어서 화제가 되기도 했지요. 물론 훗날 해상도가 더 뛰어난 카메라로 찍은 결과 사람과 전혀 닮지 않은 것으로 판명됐지만요.대개 단순한 오해나 농담으로 치부할 만한 일인데, 세상에는 이걸 진지하게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09
위로는 자갈을 파고 아래로는 암석을 파야 한다. 조금 과장하면 모래를 파내는 삽과
바위
를 깨는 드릴을 동시에 써야 하는 셈이다. 이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고 결국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중간 지역을 판 걸까. 충적층은 석촌 지하차도와 너무 가까웠고, 암석층은 너무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
과학동아
l
201409
밀물과 썰물 때 바닷물이 한꺼번에 빠져 나가 조류의 흐름이 무척 빠르다. 바닷물이
바위
에 부딪치는 소리가 너무 커 바다가 우는 것처럼 들린다고 울돌목이란 이름이 붙었을 정도. 명량은 울돌목의 한자 표기다. 영화 후반부 해전 장면에서는 조선 수군의 맹공격으로 깨진 왜선이 거친 소용돌이에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