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권
환경
d라이브러리
"
대기권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03
인천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까지 고도 300km로 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동환 교수는 “
대기권
을 벗어나는 비행기는 로켓 엔진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항공기보다는 우주비행체라 불러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런 초음속 비행기는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이 NASA와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1
한눈에 이해가 쏙쏙특집 한 걸음 더!금속간 화합물보통 합금으로는 우주왕복선이 지구
대기권
을 드나들 때 생기는 1800℃ 안팎의 뜨거운 열을 견디기 힘들어요. 열에 가장 잘 견디는 니켈 합금도 최고 1000℃ 정도만 견딜 수 있죠. 그래서 우주왕복선 표면에는 도자기와 비슷한 세라믹조각을 촘촘하게 ... ...
지구별을 여행하는 외계인을 위한 안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2
상쾌한 지구별 여행, 지금부터 출발합니다! 푸른 별의 푸른 바다우주선을 타고 지구의
대기권
으로 들어오면서부터 여러분의 눈길을 사로잡는 것이 있죠? 그것이 바로 바다입니다. 지구 표면의 약 70%를 덮고 있는 바다는 물에 소금이 라는 성분이 녹아 있어 짭쪼름한 맛이 납니다. 이 바다에는 100만 ... ...
풍선으로 지구를 찍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1
기상관측용 풍선에 카메라와 GPS를 달아 하늘로 띄웠어요. 이 풍선은 고도 30㎞ 상공의
대기권
밖으로까지 날아가 총 888장의 사진을 찍었는데, 다양한 기상현상은 물론 둥근 지구의 아름다운 모습도 담아냈답니다. 돈도 35만 원밖에 들지 않았다고 해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전, 정말 멋지죠 ... ...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1
하지만 이런 경우는 극히 드물어요. 보통 50m 미만의 암석질로 이뤄진 소행성은 지구
대기권
에서 폭발하니, 너무 걱정하지는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미국 애리조나 주의 디아블로 협곡 동쪽에 있는 소행성 충돌 흔적.학자들은 약 지름 30~50m 크기에 니켈과 아연 등 금속으로 구성된 소행성으로 약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12
들거나 우주정거장을 청소하고 우주 바깥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그동안 지구
대기권
을 수십 번 통과하며 1500℃가 넘는 고온을 견딘 탓에 내 몸 이곳저곳에는 그을음과 상처가 남아 있다. 이제 새로운 형태의 우주선에게 자리를 양보할 때다. 나는 이번 마지막 미션을 마치면 미국 워싱턴 ... ...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
과학동아
l
201011
카메라에는 사진이 888장 촬영됐는데 그중에는 지구의 곡선과 기상 상황이 선명하게 찍힌
대기권
사진도 있었다.김 씨는 “외국 사례에서 낙하한 박스가 부서져 있는 것을 보고 박스 안팎에 폴리우레탄과 에어캡을 붙여 낙하 시 발생하는 충격에 대비했다”며 “풍선을 띄울 당시 기상 상황이 좋지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10
GPS와 같은 인공위성의 도움을 받는다. 그런데 이 인공위성은 지구에서 발사할 때 지구
대기권
을 벗어나면서(초속 7.9km) 지구 밖으로는 튀어나가지 않는 속도(초속 11.2km)로 날아가야 한다. 이렇게 하려면 다양한 수학적 방법을 동원해 치밀하게 계산해서 로켓을 발사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10
수 없기 때문에 교신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 낮은 고도를 도는 위성의 경우 지구
대기권
에 진입해 일찍 수명을 다할 수도 있다.1989년에 태양폭풍이 왔을 때, 미국 위성추적소가 1만 개가 넘는 위성의 궤도를 추적하지 못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위험은 인공위성이 소형화되면서 더 커지고 있다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10
많이 떠다닌다. 이 쓰레기들은 열권 속 기체들과 부딪치면서 속도를 잃고 점차
대기권
으로 떨어지는데, 열권의 밀도가 낮아지면 우주 공간에 더 오래 머물게 된다. 돌아다니다가 다른 인공위성과 충돌할 위험도 적지 않다.이 뿐만이 아니다. 열권은 태양에서 오는 파장이 1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