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룹"(으)로 총 1,3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11
- 가까이 높았다. 우주비행을 한 우주인 중 지구 저궤도를 다녀온 그룹은 11%, 달에 다녀온 그룹은 43%로, 우주방사선에 노출된 기간이 길수록 발병이 증가했다.암 유발 위험성도 크다. 네이처에 실린 리뷰논문에 따르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임무를 수행할 경우 암에 걸려 사망할 확률은 0.1~3%이내인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11
- 다른 사람이 위험에 빠진 사진을 보여줬을 때도 마찬가지다. 외로움을 잘 느끼지 않는 그룹만 측두정엽이 활성화됐다. 이 부위는 다른 사람과 나의 입장을 바꿔 생각할 때 활성화된다. 연구팀은 외로움을 잘 느끼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행복과 불행에 공감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11
- 자녀는 아내의 mtDNA를 물려받기 때문이다. 비슷한 mtDNA를 공유하는 집단을 ‘mtDNA 하플로그룹’이라고 한다.같은 모계 혈통을 가진 사람들은 동일한 mtDNA를 공유하기 때문에 mtDNA 정보만으로 100% 신원 확인을 장담할 수 없다. 실제 미국 백인의 7% 정도는 동일한 mtDNA를 갖고 있다. 만일 변사자가 이런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11
- 센서스 코무니스에 대해 알게 되고, 센서스 코무니스와 J 그룹의 관계를 알게 되고, J 그룹을 압박해서 센서스 코무니스 대표를 손에 넣은 것이다. 권력을 오래 휘둘러본 사람에게 그런 일은 당구 챔피언이 쓰리쿠션을 치는 것보다 쉽다.지금 이 글은 그 모임으로부터도 한 달이 지나서 쓴다.그 한 달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10
- 중요해요!오스트리아 그라츠공과대 수학과 강미현 교수제가 일하는 대학의 조합론 연구그룹 연구원들과 정기적으로 주제별로 팀을 이뤄 공동연구하고 있어요.방문연구도 즐겨 해요. 다른 수학자를 찾아가서 한동안 머물며 함께 연구하지요. 처음 함께 연구할 때는 서로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서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10
- 관련된 연구 제안을 발생학 전공자가 평가하는 식이다. 이는 국내에 세부 분야별 연구자 그룹이 적고, 서로 학연이나 공동연구 등으로 얽혀있기 때문이다. 연구비 지원 대상 선정에 이해관계가 반영되지 않게 하려다 보니 전문성이 떨어지는 평가자를 섭외하게 된다.현업을 떠난 지 오래된 연구자가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뽑아 6년 동안 지원한다. 연구자의 연구 방향을 제한하거나 조종하지 않는다. 테일러 그룹 리더는 “연구소에서 신경세포의 노화와 관련된 연구를 하기 위해 날 뽑았지만, 내가 내일부터 다른 연구를 하겠다고 해도 허락할 것”이라며 “지원 기간이 끝났을 때 연구 성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10
- 오른 것을 시작으로 탐험가가 됐다. 특히 2010년에는 아시아인 최초로 NASA 우주생물학그룹과 함께 서호주를 탐사했다. ‘35억 년 전 세상 그대로’는 세 차례에 걸친 서호주 탐험을 5년간 기록한 에세이이자, 탐험 입문서다.책을 열자마자 만나게 되는, 호주 사막에서 조난 당한 이야기를 읽으면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10
- 이 교수는 “그게 바로 세계적인 수준의 네트워크를 갖추고 좋은 연구 성과를 내는 연구 그룹들을 많이 길러내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PART 3. 건강한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09
- 어둡게 표현됐죠.이 뇌 지도가 완벽한 것만은 아닙니다. 한계도 있죠. 단일뉴런 또는 소그룹 뉴런의 활성까지는 알 수 없다는 겁니다. 이게 무슨 뜻일까요. 미국 뉴멕시코대 렉스 정박사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구글맵으로 비유를 했습니다. “구글맵을 이용해 이웃의 뒷마당까지는 볼 수 있게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