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도 박쥐 무리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옮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진행할 예정이다. 박쥐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박쥐 사이에 퍼진 바이러스가 다시
인간
에게 돌아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뉴욕타임즈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북미 박쥐에서 발견되면 병을 일으키지 않더라도 다른 동물에게 이를 계속 전파할 수 있다”며 “코로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혼자라고 느낄 때
2020.08.01
도 있다. 나의 경우 불안과 회피 애착을 동시에 보였던 것 같다. 그러다가 언제서부턴가
인간
관계에 있어 불안함이 많이 사라졌음을 느꼈다. 함께 있어도 굳이 상대를 기쁘게 만드려고 애쓰며 거짓 미소를 짓지 않아도 되는, 혼자 있을 때의 내 모습과 가장 비슷한 나의 모습으로 편안하게 존재해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비번역 DNA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1
인간
세포의 염색질을 분석한 결과를, 에릭 멘덴홀 미국 알라바마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인간
간 세포주에서 활성화된 염색질 관련 단백질에 대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네이처는 “연구 논문들은 비번역 DNA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어떻게 비번역 DNA들이 조절되고있는 지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
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코로나19 가짜 뉴스에 맞선 데이터 과학
2020.07.29
긍정적 캠페인 기간 코로나19에 대한 가짜뉴스는 더욱 심각해졌다. 코로나19 백신이
인간
의 생식능력을 저해하거나, 자폐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짜뉴스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부작용에 대한 걱정은 백신 거부 운동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 연구진은 ‘향후 개발될 백신을 수용할 ... ...
슈퍼컴으로 코로나19 잡는 인공 단백질 설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방해해 감염을 막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인공단백질 중 일부를 6개
인간
세포주에 넣어 독성을 일으키는지 확인한 결과 독성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장 센터장은 “효능 검증을 위해 생물안전 3등급(BL-3) 실험실에서 전임상실험을 곧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박쥐 몸 속에서 40~70년 전 생겨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적다고 결론지었다. 연구팀은 미래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생 박쥐를 관찰해
인간
을 감염시킬 수 있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를 식별하고 실시간으로 반응해하는 질병 감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로버트슨 교수는 “우리는 두 번째 사스 바이러스에 준비하는 것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이 기술이 미토콘드리아 질병의 동물 모델을 만드는데 먼저 쓰일 것으로 예상했다.
인간
의 미토콘드리아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변이를 염기편집으로 동물 미토콘드리아의 해당 위치에 재현하면 이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을 이해하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리우 ... ...
코로나19 바이러스, 미끼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1000분의 1 크기인 생분해성 고분자 입자 위에 폐 상피세포막을 씌웠다.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달라붙는 것처럼 붙을 수 있는 일종의 미끼인 셈이다. 세포에 코로나19를 감염시키는 실험에서 1ml당 5mg의 농도로 나노입자를 주입하자 세포 중 93%가 바이러스 감염이 억제됐다. 연구팀은 이 입자에 ... ...
"슈퍼전파자 외엔 코로나 실내 공기전파 위험 높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보관소 소장. 진화심리학자 데이비드 버스는 기침에 대한 본능적 혐오를 예로 들면서
인간
에게 ‘차이 탐지 적응’이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위키미디어 연구팀은 “많은 바이러스를 함유한 미세입자를 흩뿌리는 슈퍼전파자라면 환기가 안 되는 방에서 오래 머무를 경우 전파 위험이 높지만, 그런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