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공간"(으)로 총 1,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잘 썼고 내용도 대단했다. 그래서 정작 원래 보려던 책 (‘The spaces between us’라는, 사적공간의 과학에 대한 책이다)은 제쳐두고 이 책부터 보기 시작했다. 그런데 1장을 읽다보니 좀 이상했다. ‘대단한 넷’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The fab four’라는 제목이 뜻하는 건 기본맛 네 가지였다. 단맛,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빗겨나갔다. 뭔가 그럴듯한 설명을 기대했던 필자는 좀 실망했다. 연구자들은 휴식 공간의 조명으로 LED를 사용했는데, 백색광은 세 가지 LED를 다 켠 상태이고 파란빛의 경우 녹색LED와 빨간색LED를 껐다. 즉 파란빛 방은 백색광 방에 비해 조도가 낮은 것이다. 따라서 두 방의 스트레스 이완 속도 ...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2017.09.09
- 사서 불행한 시간을 살고 따라서 불행한 경향이 나타난다(Killingsworth & Gilbert, 2010). 시간과 공간을 떠나 과거에 대한 후회 또는 미래에 대한 걱정을 하는 것은 고등 동물로서 인간이 더 나은 미래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데 분명 도움을 주지만, 그와 동시에 인간으로부터 지금을 놓치게 만드는 큰 비용을 ... ...
- 최대 시속 160㎞, 참치 수영실력의 비밀은?동아사이언스 l2017.07.23
- 정교한 수영실력을 요구하는 어종들이 지느러미의 정교한 조정을 위해 진화적으로 이 공간이 생겨났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블로브 교수는 “고등어과 어종의 특별한 림프계 구조를 이해하면, 바다 속을 탐험하는 수중탐사 장비 등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사무실이 시끄럽다면, 대형 헬멧팝뉴스 l2017.07.23
- 집중할 수 있다. 또 전화 통화를 해도 소리가 새나가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안 된다. 업무 공간도 줄여준다는 설명이다. 화상 통화를 위해 따라 회의실에 모일 필요가 없다. 자기 자리에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7.06.27
- 동위원소 붕괴 시 나오는 양전자가 전자를 만나 소멸될 때 나오는 감마선 대부분이 우주 공간으로 여행을 떠날 수 있다. 연구자들의 계산에 따르면 SN1991bg 유형 초신성 폭발에서 태양 질량의 3% 정도의 티타늄44가 만들어지고 그 붕괴 과정에서 초당 10의 43승 개의 양전자가 나와 지구에서 관측하는 0.5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까지 제자리에 잘 잡혀있다. 그 뒤 턱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사랑니가 위치할 공간이 부족해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고 있다. - 네이처 제공 그런데 이번에 추가 발굴의 결과가 발표되면서 연대가 거의 두 배나 더 오래됐다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독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2017.05.30
- 목조 건축물은 1056년에 지은 중국 요나라의 잉현목탑으로 높이가 67미터에 이르지만 주거공간이 아니므로 제외했다.) 지난해 9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에서 53미터짜리 기숙사를 완공했다. 그러나 올해 안으로 이 기록이 깨어질 예정이다. 오스트리아에 84미터 높이의 호호빌딩이 건설되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2017.05.02
- 67%가 줄어들었다고 한다(참고로 빈 방도 44% 줄어들었다). 물론 실내에서 식물이 차지하는 공간을 고려하면 이정도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의문이지만(20제곱미터 거실에 중간 크기 화분 일곱 개는 둬야 한다) 아무튼 필자 집도 최근 벵갈고무나무 화분을 하나 들였다. ‘미세먼지 나쁨’이 ...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숫자을 잘 보면 잘 보면 시간이 흐르는데 동일한 형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공간에서 원자 배열이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결정’이라고 부르니 시간에서 원자 배열이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시간 결정’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랍니다. ※ 관련 논문 J. Zhang et al. (2017), Observation of a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