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기진단 어렵고 백신 효과 불투명한 'HIV'감염...코로나 사각지대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코로나19 감염에도 취약한데다, 코로나19 백신을 맞아도 예방효과가 크게 떨어진다. 이미
학계
에서는 HIV 감염자가 B형간염 백신이나 독감(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아도 예방효과가 떨어진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다. 매튜 스피넬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의대 감염학과 교수팀은 지난 5월 ... ...
[2021국정감사] '대장동 개발사업'으로 파행 겪은 과기부 국감서 우주 정책 지적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있는 역할에 대해 검토해보겠다"고 답했다. 이 밖에 북한 사이버테러 조직이 정치계나
학계
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감행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대응이 안일하다는 지적, 출연연 내 연구장비가 소홀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지적, 연구실 환경개선 사업에 8년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지적 등이 ... ...
코로나19 감염이 당뇨병 발생 또는 합병증 위험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만들어지지 않거나 잘 작용하지 않으면 각각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병이 될 수 있다.
학계
에서는 이미 코로나19 감염이 당뇨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었다. 프란치스코 루비노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비만대사외과학과장은 지난 3월 영국당뇨병학회에 "임상의 350여 명이 개별적으로 ... ...
같은 코로나19 걸렸는데도 더 아픈 사람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9
비교적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8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학계
에서는 코로나19 감염 중증도에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분자가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었다. 연구팀은 특정 유전자를 증폭해 ... ...
반도체 경쟁력 강화 위해 힘 모은다…최상위 협의체 출범
연합뉴스
l
2021.09.28
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패키징 기업 등 업계 대표와 반도체 분야
학계
·연구기관 대표 등 총 30명으로 구성됐다. 협의체는 이날 행사에서 업계에서 추진해온 연대·협력의 성과와 향후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정부가 마련한 K-반도체 전략의 주요 과제를 점검했다. 반도체협회 ... ...
[2021노벨상]'래스커상'까지 거머쥔 코로나 백신 과학자들, 올해 노벨상까지 받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시시각각 등장하는 새로운 변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물론 과
학계
일각에서는 이들이 노벨상을 받기엔 아직 이르다는 의견도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아직 끝나지 않은 데다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백신 효과가 다소 떨어졌고, 면역력 지속기간과 접종 후 부작용에 ... ...
[2021노벨상]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에 mRNA백신에 기여한 과학자들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9.26
빛을 향해 헤엄치는 조류 연구로 외스터헬트 교수가 연구한 박테리아와 유사한 단백질을
학계
에 보고했다. 다이세로스 박사는 이들 단백질이 이온 채널을 열어 빛을 전기적 활동으로 전환해 뉴런을 자극하는 것으로 추론했다. 이에 따라 빛을 감지하는 단백질 관련 유전자를 신경세포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람 타고 나는 씨앗 흉내낸 3차원 전자소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퍼질 수 있다. 씨앗을 널리 퍼뜨리는 데 가장 강력하고 효율적인 전략이다. 지금까지
학계
에서는 공중에서 스스로 비행하는 로봇이나 전자소자를 개발할 때 드론의 크기를 줄이거나, 초소형 전기모터를 넣어 수~수십cm 크기 비행 로봇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기계 부품이 많이 들어가고 디자인이 ... ...
“하루 만에 몸에 퍼진 미세플라스틱 눈으로 확인했죠”
과학동아
l
2021.09.25
캠퍼스(UST-KIRAMS)는 세계 최초로 미세플라스틱의 체내 흡수 경로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
학계
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생물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 논문을 주도한 제1저자 임창근 UST-KIRAMS 방사선종양의과학전공 학생연구원을 서울 공릉동 ... ...
'첫 외계 천체' 오무아무아는 외계 지성체가 만든 것일까
연합뉴스
l
2021.09.24
'I'는 성간(interstellar)을 의미한다. 당시 '오무아무아가 성간 공간에서 왔다'는 것은 천문
학계
모두가 동의한 몇 안 되는 사항 중 하나였다. 로브 교수는 오무아무아가 발견된 지 약 1년 후 슈무엘 바이얼리 박사 후 연구원과 함께 '빛의 돛' 가설을 토대로 '태양 복사압이 오무아무아의 특이한 가속을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