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공감·AI] ⑥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잡아" 신개념 코로나19 바이러스 탐지 센서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외부 유해물질 감지용 센서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7월 21
일자
에 발표됐다. 이 센서는 벤젠이나 아세톤같은 유독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나 내분기계를 교란하는 물질인 플라스틱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물질을 감지하면 색이 변한다. 이 센서는 다른 물질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넘어섰기 때문에 여기서는 최근 발표된 몇몇 연구결과만 소개한다. ‘네이처’ 5월 14
일자
에는 리보솜 공장 인(nucleolus)에 대한 이해를 높인 연구결과가 실렸다. 앞서 말했듯이 핵 내 구조물인 인에서는 리보솜RNA의 성숙과 리보솜의 조립이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NPM1을 비롯한 여러 단백질이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노준석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구조색 기술은 염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색이 바래지 않고 외부의 강한 광원 없이 저전력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포토닉스 리서치’ 1
일자
에 발표됐다 ... ...
의사 국시 1주일 연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추석 연휴기간과 시험 시스템 점검기간으로 9월 21일 이후 응시 예정자 시험
일자
는 10월 12일로 조정된다. 마지막 시험은 11월 10일 실시된다. 김 차관은 “기존 9월 1일에서 9월 7일 사이에 시험 응시를 신청하셨던 의대생들께는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기존에 ... ...
코로나19에 또 걸리면 더 아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라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의학학술지 '브리티시메디컬저널(BMJ)' 지난달 7
일자
에 발표했다. 항체의존면역증강은 항체가 몸에서 오히려 바이러스의 증식을 돕는 부작용을 뜻한다. 연구팀은 첫번째 감염때 만들어진 항체가 더 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재감염은 ... ...
공기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빠르게 측정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논문 제1저자인 죠티 바하드와지 UNIST 연구원과 김명우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UNIST 제공 공기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이 개발됐다. ...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환경과학기술’ 24
일자
에 발표됐다 ... ...
현택환, 김빛내리, 황철성 교수 등 8명 서울대 석좌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서울대는 탁월한 학문적 업적을 세운 과학자와 공학자, 경제학자 등 8명을 9월 1
일자
로 신규 석좌교수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되는 석좌교수는 이공계 분야 6명과 인문, 사회 분야 2명이다. 이 가운데 4명은 2017년 9월 선정된 뒤 이번에 재선정됐다. 먼저 마이크로RNA 연구의 개척자로 ... ...
몸속 아픈 곳 찾아가 약 주고 스르르 녹는 초소형 캡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분해되는 약물 전달체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온라인판 28
일자
에 발표했다. 약물의 경구 투여나 주사형 방식은 몸 전체에 약물이 퍼진다는 문제가 있다. 알약을 이용한 경구 투여방식의 경우 몸 속에 필요한 부위에 약 5%만 전달된다. 이에 따라 약물을 직접 전달하는 ... ...
머리카락보다 가는 네 발로 걷는 초소형 로봇 부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00만 분의 1m), 길이 40㎛ 크기의 로봇을 개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27
일자
에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아주 작은 크기의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려고 노력해왔다. 인체의 혈관과 세포를 돌아다니며 생물학적 환경을 탐사하는 로봇 등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무궁무진하기 ... ...
왼손잡이, 손가락 촉각으로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뇌 부위를 관찰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7
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고 26일 밝혔다. 전세계에서 왼손잡이는 약 10%인 것으로 추정된다.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를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에딘버러 손잡이 평가법’이 주로 쓰인다. 이는 주관적인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