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구소"(으)로 총 9,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농업 분야 슈바이처' 한상기 교수 등 4인 과학기술유공자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식량난 해결에 헌신한 ‘농업분야의 슈바이처’로 불린다. 나이지리아 국제열대농업연구소(IITA)에서 1971년부터 24년간 아프리카의 주요 식량작물(카사바 38품종, 얌 5품종, 고구마 33품종, 바나나 9품종 등)을 육종해 66개국에 보급하는 등 식량문제 해결에 기여했다. 과학기술유공자 제도는 ... ...
-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 세계 1위 수준 초격차 기술 확보할 것" 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연계해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2차전지 분야 국제공동연구 지원을 위해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등과도 협의 중에 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앞으로도 민간에서 필요하나 투자하기 힘든 주력기술분야 차세대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정부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 ...
- [사이언스게시판] KAIST, KSA 학생 4명 '2023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7
- 대해 협의했다. 이번 의결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설 기관인 국가녹색기술연구소가 2025학년도 1학기부터 UST 학사운영에 참여하게 됐다. KIST스쿨 주관 ‘에너지-환경융합전공’ 내 ‘(가칭) 녹색·기후 기술 정책 및 국제협력’ 세부전공을 운영, 석사과정 학생을 양성하고, 커리큘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2023.12.27
- 우려내 한 잔 마셔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10권), 《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 ...
- [과기원NOW] KAIST, 40% 이상 당겨도 작동하는 '스트레처블 태양전지' 구현 外동아사이언스 l2023.12.26
-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제1저자인 이진우 응용과학연구소 박사, 이흥구 석사과정생. KAIST 제공 ■ KAIST는 김범준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높은 전기적 성능과 신축성을 동시에 갖는 새로운 형태의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개발해 세계적인 성능의 스트레처블 유기태양전지를 구현, 국제 ... ...
- 뿌리에 전기 자극하면, 식물 성장 속도 빨라져동아사이언스 l2023.12.26
-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엘레니 스타브리니두 스웨덴 린셰핑대 유기전자공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이 26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연구 논문 내용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재배 기질을 이용해 보리 묘목의 뿌리에 전기 자극을 가하자 성장 속도가 빨라졌다. 재배 기질은 토양 ... ...
- 한국공학한림원,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 등 50명 정회원 선임동아사이언스 l2023.12.26
- 일반회원 58인도 함께 선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공학한림원 회원은 기업, 대학, 기관(연구소) 등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와 혁신적인 기술개발로 국가 발전에 기여한 전문가들 중에서 추천을 받아 10개월간의 엄격한 다단계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회원 임기는 5년이다. 학계에서는 권성훈 서울대 ... ...
- [사이언스게시판] 한·일 우주 및 전략기술 협력 방안 협의동아사이언스 l2023.12.25
- 방안을 논의했다. 일본 내각부의 종합과학기술혁신회의(CSTI)와 도쿄대를 방문해 국가 연구소간 전략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세부사항을 논의했다. 일본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QST)에서 양자 센싱과 의료 융합 연구 등 시설을 방문해 한·미·일 공동연구 활성화 전략 등을 논의했다. 조 차관은 ... ...
- 상온 초전도체 LK-99 논란…영국 과학자들이 꼽은 올해 과학이슈동아사이언스 l2023.12.25
- 줄기세포 기반 인공 배아모델의 발전도 10대 과학뉴스에 선정됐다. 6월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연구팀은 어떤 세포로도 발달할 수 있는 만능 줄기세포가 초기 착상을 거쳐 인간배아와 비슷한 구조로 발달할 수 있는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인간배아는 선천성 질환, 유산, ... ...
- 우주쓰레기 태우는 게 최선일까…"금속 에어로졸 영향 고려해야"과학동아 l2023.12.23
- 1호를 지구로 귀환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우리별 1호의 귀환 프로젝트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연구 중이다. 정 연구원은 “(우리별 1호 귀환과 별개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역시 현재 로봇팔로 우주 쓰레기를 붙잡는 ADR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주 쓰레기를 끌어내려 없애려면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