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476건 검색되었습니다.
백금 사용량 10분의1 줄여 '수전해 셀' 생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귀금속 단일 원자 촉매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셀의 성능은
미국
에너지부(DOE)가 제시한 수전해 셀 성능 및 귀금속 사용량의 2026년 목표치를 충족했다. 수전해 셀은 물을 전기화학적으로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탄소 중립 시대를 위한 필수적인 에너지 변환 ...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
미국
품목허가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6 단백질 억제제다. 2023년 글로벌 매출 약 26억3000만 스위스프랑(약 4조원)을 기록했으며
미국
시장에서만 16억3800만 달러(약 2조293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셀트리온은 지난달 국내에서 앱토즈마 허가를 획득했다. 최근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는 앱토즈마의 품목허가 ... ...
中 딥시크, 과학계 활용도 유망…연구자 입맛 따라 개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의료 연구와 같이 민감한 개인 데이터를 다룰 때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수바오 캄밤파티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교수는 딥시크-R1이 다른 중국 AI 모델과 마찬가지로 천안문 광장 사건처럼 중국 역사에서 민감한 부분을 물어볼 때 답변을 회피하는 경향에 대해서 "검열 기능이 내장됐다기보다는 ... ...
핵 확산·AI 확대…"지구 멸망 시계, 멸망에 최근접"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성공한 1949년에는 자정 3분 전으로 조정했다. 인류가 멸망에서 가장 안전했던 해는
미국
과 소련이 전략핵무기 감축에 합의한 전략무기감축조약(START)을 체결한 1991년으로 당시 시각은 자정 17분 전이었다. 2020년 이후에는 100초 전으로 유지해 왔다가 BSA는 2023년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 ...
[동물do감] 정전기로 벌새에 '무임승차'하는 진드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콧구멍에 숨었다. 탑승 속도는 무려 초속 150m에 달했다. 카를로스 가르시아-로블레도
미국
코네티컷대 생태·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벌새꽃응애과 진드기(학명 Melicharidae)들이 전기장의 힘으로 벌새에 올라타 다른 꽃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2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미국
... ...
중국 ‘딥시크 충격' 오픈AI "딥시크, 자사 데이터 무단 수집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위해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중국 기반 기업들이 주요
미국
AI 기업의 모델을 지속적으로 증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 ...
스페이스X 로켓 '스타십' 시험발사, 현지에선 '민폐'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 치카 해변 인근에는 국립야생동물보호구역이 자리하고 있다.
미국
환경당국에 따르면 지난 스타십의 첫 발사 당시 여파로 발사장에서 콘크리트 덩어리가 튕겨져 나가며 인근에서 1만4000㎡ 면적에 달하는 화재가 발생했다 ... ...
야생 멧돼지 도심 출몰 소동…드론이 해결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마을 사람들은 야생 곰으로 인한 가축 피해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
대초원에 출몰하는 불곰의 경우 몸무게가 최대 751kg(킬로그램)에 이르며 15cm(센티미터)에 이르는 긴 발톱과 6.8MPa(메가파스칼,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1MPa는 제곱미터당 1N의 힘)의 무는 힘을 가졌다. 강력한 ... ...
덜 위험한 유방 상피내암 등 '암' 명칭 삭제 두고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불안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도 지적됐다. 로라 에서먼
미국
UC 샌프란시스코 유방관리센터 교수는 “암은 한 가지 질병이 아니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는 점을 대중에게 교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10.1001/jama.2024.2725 ... ...
"연휴 체중 증가…대학생은 근육, 노인은 지방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1.29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체중의 성질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틴 빙크스
미국
조지 메이슨대 교수 연구팀은 연휴 기간 똑같이 체중이 증가해도 중장년층은 지방이 늘어났지만 20대 대학생은 근육량이 늘어났음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비만과학과 실천'에 최근 발표했다.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