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뉴스
"
도달
"(으)로 총 1,6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있었다. 그는 시내를 따라가다가 길을 잃어버렸다. 문득 복숭아 꽃이 활짝 핀 숲에
도달
했는데, 좁은 물가에 수백 보 길이로 다른 나무는 하나도 없이 신선한 향초들이 아름답게 피어 있고, 꽃잎이 분분히 떨어졌다. - 도연명, ‘도화원기(桃花源記)’에서 요즘은 하우스 재배에 수입산까지 가세해 ... ...
지구 것 아닌 금(金) 출처는 대형 별 초신성 폭발
연합뉴스
l
2019.06.16
컬랩사 슈퍼노바가 무거운 원소를 더 많이 생성할 수 있다는, 뜻하지 않은 결론에
도달
했다. 중성자별 간 충돌이 무거운 원소를 만든다는 것은 지난 2017년 처음으로 관측된 중력파(GW 170817) 자료를 통해 실제로 확인됐다. 별간 충돌 등 강력한 폭발로 원자핵이 중성자를 빠르게 포획하는 ... ...
[주말N수학] CIA요원마저 사로잡은 대테러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19.06.15
도달
하지 못하게 하려면 어느 꼭지를 잠가야 할지 선택하는 겁니다. 1개만 잠가서
도달
하지 못하게 하려면 A를 잠그면 되고 2개를 잠근다면 A와 아무 다른 꼭지를 선택하거나 B, C를 선택하면 됩닌다. 이처럼 k에 대한 절단 집합은 정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k개의 원소를 고르는 집합입니다. 같은 ... ...
장내미생물은 약물도 '꿀꺽'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이 효소의 작용을 막는 약물인 카비도파를 개발해 레보도파의 전달률을 높였다. 하지만
도달
률은 여전히 환자마다 차이가 크다는 게 문제였다. 레보도파의 부작용인 몸이 제멋대로 움직이는 이상운동증과 약의 효과가 그때그때 다른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레보도파를 중간에 채간 ... ...
태양질량보다 1만 배 무거운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파장대의 빛을 방출한다. 이 빛이 블랙홀의 강착원반에서 나온 빛보다 더 늦게 지구에
도달
하기 때문에 이 시간차를 측정하면 블랙홀에서 가스구름 영역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방출선 영역에서 나오는 빛의 밝기 변화는 강착원반에서 나오는 빛의 밝기 변화를 따라 변하며, 메아리처럼 ... ...
화이자 관절염 치료제 치매 예방 효과 은폐 의혹 두고 과학계 공방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기준을 충족하지는 못했다며 임상시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기 힘들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
해 연구를 접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역시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추가 연구를 결정하지 않은 화이자의 결정에 과학계가 옳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난항에 빠져 ... ...
뇌세포 닮은 저전력 광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교수는 “이미 2007년 ‘무어의 법칙’의 주인공 무어가 10~15년 뒤 무어의 법칙이 한계에
도달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며 “반도체 나노공정이 3~5nm 공정에 가면 전자끼리의 간섭으로 발열이 심해진다”고 말했다. 뇌가 작은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하나를 켤 정도의 적은 전력(20W 미만)으로 복잡한 ... ...
과학으로 해석한 공포 영화 속 몬스터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6.01
‘대뇌’에서 만든 운동 신호가 척수에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전각 세포’에
도달
해야 한다. 그런데 가위눌림이 발생할 때는 뇌의 ‘연수’ 부분에서 뻗어 나온 신경세포가 전각 세포를 억제해 몸이 움직이지 못한다. 수면 마비는 주로 잠이 부족하거나 무서운 영화를 본 후 나타난다. 채규영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가동 언제쯤…"상반기 내 불가"
연합뉴스
l
2019.05.29
제공 하나로는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건설된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다. 1995년 첫 임계에
도달
한 뒤 약 20년간 의료용·산업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해 왔다. 그러나 2014년 7월 전력계통 이상으로 가동이 중단됐으며 검사 도중인 2015년 3월 이 원자로건물의 벽체와 지붕 구조물(트러스) 일부가 내진 ... ...
물질 기본입자 ‘쿼크’ 증명한 물리학자 머리 겔만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겔만은 강입자가 기본입자가 아닌 다른 기본입자로 이뤄진 복합입자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
한다. 그는 1964년 물질의 기본입자인 쿼크를 제시하고 그 존재를 증명했다. 아일랜드 작가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피네간의 경야’에서 이름을 따온 쿼크는 현재 발견된 물질을 구성하는 단위 중 가장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