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불의 제왕 섭섭박사! 열을 다스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체온을 재요. 체온계 없이도 체온을 잴 수 있으면 얼마나 편할까요? 지난 4월 15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성균관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스마트폰 카메라에 적용하면 체온을 확인할 수 있는 ‘열영상센서’를 개발했어요. 열영상센서는 인체나 물체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을 감지해 영상으로 ... ...
- [특집]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발표했는데요. 이 학습지도요령에도 독도를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표현하고 한국이 독도를 불법점거하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송 연구교수는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을 반영한 교과서로 유치원은 2018년부터, 초등학교는 2020년부터, 중학생은 올해부터 배우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 ...
- [에프매스의 무의식 퍼즐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생각이 많아 머리가 복잡해졌다고? 아무에게도 알려주지 않은 특별한 비밀 공간에 초대하지. 여기는 나, 에프매스의 무의식 속이야. 난 휴식이 필요할 때면 무의식 세계로 들어가 시간을 보내곤 해. 하지만 소중한 나만의 공간에 아무나 들일 수 없지. 퍼즐을 푼 사람만 다음 세계를 구경할 수 있어.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순간적으로 속도가 0이 될 때 인체에는 견딜 수 없는 수준의 압력이 가해진다. 가령 한국 공군 주력 전투기인 F-15K와 KF-16이 마하 2를 넘는 속도에서 급상승 또는 급선회할 때에는 몸을 누르는 압력은 중력의 9배(9G) 이상에 달한다. 보통 중력의 4~5배를 넘어서면 눈동자에서 피가 빠져나가면서 시야가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등의 글꼴보다 최대 12% 단축된 결과로 시속 80km로 주행하면 11m를 움직이는 시간이다.한국에서도 이런 배경에서 탄생한 글꼴이 있다. 2010년부터 고속도로용 표지판과 도로명 표지판에 쓰이고 있는 ‘한길체’다. 글자 간격이 넓고, 글자와 여백의 비율을 비슷하게 설정했으며 ‘ㅇ’의 형태를 일관성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NASA) 출신 엔지니어를 영입하며 70년 이상의 노하우를 전수 받았다. 고 본부장은 “한국은 누리호를 통해 이제야 국내 기반기술의 초석을 마련하고 있다. 갈 길이 아직 많이 남았다”고 말했다 ... ...
- [인터뷰] “부정적인 조직 문화에 휩쓸리지 않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연구자로서의 삶, 두 가지 꿈을 공평하게 꾸고 있다. “인재개발센터장으로서 한국과 개발도상국의 건강한 자원협력 기반을 만들고, 학생들이 과학을 암기과목이 아닌 의문-가설-관찰-실험-논리적 추론-결론의 과정으로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용도의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리터러시 교육 웹사이트 ‘해(海)봄 교실’을 출시해 한반도 연근해 해양데이터를 한국어로 쉽게 접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마련했다. 해(海)봄 교실은 환경과학기술이 해양수산부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구축한 JOISS의 해양데이터를 활용한다. JOISS는 국내 해양 연구자료 3억 4000만 건, 모델·재분석 ... ...
- [과학 뉴스] 인저뉴이티, 다른 행성의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월 19일 한국 시각으로 오후 4시 30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헬리콥터 ‘인저뉴이티’가 처음으로 화성 상공을 날았어요.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인류가 ‘조종할 수 있는 동력 비행체’를 날리는 데 최초로 성공한 것이죠. 화성의 낮 동안 태양전지판으로 에너지를 충전한 인저뉴이티는 첫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와 밥상을 오염시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하지만 일본은 구체적인 오염수 방류 시나리오를 밝히지 않는 상태예요.한편 한국원자력학회는 “일본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일방적으로 결정하며 국민들이 방사능 공포를 갖게 만든 점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비판했어요. 그러면서도 “지금 보관 중인 오염수를 해양방류해도 해류를 따라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