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복수가 차거나 불임 또는 난소암 위험마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
이다. 연구원 난자 문제되는 이유"피를 나눈 형제보다 더 존경하고 모든 것을 상의할 수 있는 사람이다.”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는 황 교수를 두고 이렇게 말했다. 황 교수를 평소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줄기세포허브가 설립됐으니 국내 연구자들이 다른 나라의 기관에 줄기세포주를 등록해
지적
재산권이 외국으로 유출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황 교수를 비롯해 세계줄기세포허브 설립을 이끈 연구팀은 앞으로 세계 각국에 줄기세포허브를 구축하고 그들과 긴밀한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할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단백질을 만든다. 인간은 왜 침팬지보다 똑똑할까침팬지 게놈 분석 결과는 인간의
지적
능력이 발달해 온 과정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인간의 뇌는 침팬지보다 3배 가까이 크다. 미국 워싱턴대의 워터스톤 교수팀은 언어 능력의 진화와 관련이 깊은 FOXP2라는 유전자가 사람의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밥그릇 싸움으로만 몰아 갈 것이 아니라 귀 기울여 경청해봐야 할 때라는
지적
이다. 포항공대의 한 교수도 “실제 내용보다 조금 과장된 해프닝이라 하더라도 과학계 전체에 대한 공신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는 점에서 이번 발표에 문제가 있다”면서 “연구 성과를 알리는 것 외에 다른 의도가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도구로 전기를 선택했다는 사실은 속도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
했다.생존경쟁이 심해질수록 생명체는 빛과 전기의 찰나를 끊임없이 모방하고 이용하려 할 것이다. 광통신과 반도체는 38억년 동안 계속된 생명체의 진화 과정에서 가장 최근의 한 자락일 뿐이다. ‘일렉트릭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시간이란 개념은 사실 우주가 시작하기 이전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이것을 처음으로
지적
한 사람은 빅뱅이란 개념이 나오기 훨씬 전 시대의 성인(聖人) 아우구스티누스다. 그는 “시간이란 신이 창조한 우주의 특성”이라며 “우주가 시작되기 전에는 시간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찰나와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발표했다. 그리고 그 근본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바다 온도가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지적
했다. 해수면 온도가 0.5℃ 상승하면 태풍이나 허리케인의 위력이 약 두 배 증가한다는 것. 임마누엘 교수팀의 계산이 단순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학계는 지구온난화가 태풍과 허리케인의 위력을 키우는 ... ...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음악 듣고, TV 보고, 게임까지 하지 않느냐”며 “휴대전화 도청이 개인정보뿐 아니라
지적
재산권 문제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휴대전화를 홈 네트워크 서버로 사용할 경우 도청이 일어난다면 이는 단순히 정보를 훔치는 수준을 넘어선다”고 덧붙였다.도청을 100% 완벽하게 ... ...
도전! 판타스틱4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예전에 한번 만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재승 교수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지적
했다. 첫째 몸의 굴절률이 공기의 굴절률과 같아야 한다. 빛이 들어왔을 때 꺾이지 않고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내 몸의 진동수가 빛의 진동수와 달라야 한다. X선은 높은 진동수로 떨기 때문에 우리 몸을 ... ...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하지만 송골매는 ‘왕족 수준’이 아니라 그 아래 ‘족장 수준’이었다는 고고학계의
지적
도 있다고 한다. 전투에서 가장 앞에 서는 ‘돌격조’ 그룹이 공격성이 강한 송골매의 문양을 새기고 다녔다는 해석이다.또 뼈의 연대가 칭기즈칸이 생존했던 시대로 밝혀졌다 해도 과연 칭기즈칸의 직계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