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줄기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구해 한걸음 정도 떨어지게 심고 뿌리가 완전히 내리기를 기다린다. 두나무가 맞닿을
줄기
부분의 껍질을 약간 긁어내고 탄력 있는 튼튼한 비닐 끈으로 묶어두면 연리목이 만들어진다. 나무의 종류는 자귀나무나 음나무가 좋다. 자귀나무는 밤이 되면 증산작용을 줄이기 위해 잎을 닫아버린다. 마주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다양한 먹거리를 찾아 당신이 표류한 섬의 생태계를 탐사해보자. 동물의 배설물이나 나무
줄기
에 묻은 털을 발견했다면, 당신은 척 놀랜드보다 다양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다. 만약 탐사중 육식 동물을 발견하면? 아주 큰 섬이 아닌 이상 사람을 위협할 만큼 큰 대형 육식동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 ...
배아
줄기
세포로 뇌신경세포 분화에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포천중문의대 차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정형민 교수팀은 살아있는 쥐의 뇌에 배아
줄기
세포를 이식해 뇌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했다고 11월 22일 밝혔다. ... 3종의
줄기
세포주를 바탕으로 연말까지‘
줄기
세포은행’을 설립해 국내외 연구진들에게
줄기
세포를 분양할 계획이다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알파(α)별 아케르나르에서 끝난다. 그래서 남반구에 사는 사람은 에리다누스 강물
줄기
를 다 볼 수 있다. 희미한 별을 쫓아가며 이리저리 굽이치는 강의 모습을 그리다 보면 저승으로 가는 길도 그다지 쉽지 않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남북으로 가장 길게 뻗은 별자리로 대략 60°의 넓은 하늘을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때는 감칠맛 나는 아미노산류가 다량으로 뿌리에서 합성된다. 그런 후 아미노산은
줄기
를 거쳐 어린 잎으로 이동하는데, 여기에서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이 합성되면서 카테킨을 중심으로 한 폴리페놀류가 생성된다. 따라서 어린 잎에서는 폴리페놀류가 합성되기 전의 아미노산이 많다.이 과정에서 ... ...
시판허가 내려진 응급피임약 논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생명윤리자문위원회에서도 수정란 단계에서부터 생명이라고 간주해 모든 배아의 복제나
줄기
세포 추출 연구를 금지한다고 결정한 바 있다”고 지적하며 “응급피임약의 도입은 수정된 생명체를 죽이는 것이며 생명을 경시하는 풍조를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노레보는 성교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아래의 별들을 물
줄기
라 하면 물병자리의 전체 모습을 그릴 수 있다. 아래로 떨어지는 물
줄기
는 포말하우트에 이르러 남쪽물고기자리와 만난다. 마치 남쪽물고기가 입을 벌린 채 물을 다 받아 마시고 있는 것 같다.물병의 오른쪽 아래에서 염소자리가 기다린다. 알파(α)별 알게디는 짝별이다. ... ...
소행성 에로스 미스터리 둘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이런 파편들 중 상당 부분에서 침식이 진행됐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바람 한점, 물 한
줄기
없는 우주공간에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미세한 파편들이 소행성 구덩이에서 발견되는데, 이것은 어떤 이유로 인해 파편들이 언덕을 따라 내려갔다는 점을 시사한다. 천문학자들은 정전기의 효과를 ... ...
궁궐의 우리 나무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5대 궁궐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에 얽힌 역사와, 나무의 특징이 오롯이 담겨있다.겨울에
줄기
가 죽지 않는 식물인 나무는 남북한 통틀어 1천 종류쯤 있는데 그 중에서 약 2백50여종이 사진과 함께 등장한다. 나무 연구에 평생을 바친 저자의 사진 자료와 이 책을 위해 3년여에 걸쳐 다시 찍은 궁궐의 ... ...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점차 토성이 달에 접근함을 알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토성이 달에 붙고 어느 순간 한
줄기
빛을 남기고 달 뒤편으로 사라진다.쌍안경으로 보더라도 배율이 낮아서 토성이 별과 그리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 토성식을 제대로 관측하기 위해서는 역시 망원경이 필요하다. 대개 60mm 굴절망원경 같은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