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포유류에서도 신호 전달 지연을 확인했다. 쥐가 수염을 움직이는 행동을 할 때 운동 정보 처리를 담당하는 신피질 중 한 부위를 관찰했다.그 결과 쥐에서도 비슷한 신호 전달 지연 현상이 나타났다. 금화조는 3.3ms, 쥐는 3.4ms로 평균 지연 시간도 비슷했다. 이는 다양한 동물의 활동에서 뉴런의 신호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과학자들의 피인용률을 통해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예측하려는 시도도 있다. 글로벌 학술 정보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매년 전 세계 과학자들의 핵심 논문 피인용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한다. 2002년부터 과학자 총 336명을 후보로 예측했는데 이 중 54명(16%)이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유학을 준비한다면 생활비가 구체적으로 얼마나 드는지 궁금할 것이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비싸기로 유명한 미국 뉴욕, 영국 런던, 일본 도쿄 등에서 유학을 생각한다면 말이다.일본에 오기 전 나는 인터넷에서 일본 물가와 관련된 무수한 괴담(?)을 접했다. ‘도쿄는 땅값이 너무 비싸 다들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있는 QR을 스캔해서 무인 가게가 운영하는 앱을 설치했어요. 회원가입을 하고 개인 정보와 결제 수단을 저장하자, 스마트폰 화면에 이용가능한 매장과 입장할 때 필요한 QR이 나타났어요. 리더기에 QR을 대자 문이 열리며 가게 안으로 입장할 수 있었어요. 매장 안의 모습은 다른 가게와 크게 다르지 ...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지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릴 테고. 이런 차이를 이해하면, 외계행성의 크기와 거리 정보를 얻어낼 수 있어. 탐사를 위해 키옵스는 지난해 12월, 남아메리카 기아나 쿠루 우주센터에서 우주로 발사됐어. 우주 환경에서 적응 기간을 거친 뒤 1월 말부턴 시험 가동을 했어. 본격 임무에 들어가기 전,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라운드 스테이션(Ground Station)’을 세상에 내놨다. 그라운드 스테이션을 이용하면 정보 저장과 처리에 비용이 많이 드는 위성 데이터를 쉽게 내려받을 수 있다. 전 세계 날씨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분석해 기상 예측을 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인공위성 데이터 한 번에 ... ...
- 한글날특집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감각기관에서 수집된 정보들은 각각의 수용기를 거쳐 뇌의 시상에 도달하고, 시상에서 정보를 종합해 대뇌피질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오감은 자극과 반응이 일대일 대응을 이룬다.그런데 예외적으로 하나의 자극에 대응해 두 개 이상의 감각이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공감각적 심상이라고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자체 개발한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해 이들 사진이 촬영된 방향을 추적하고 이 정보로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 이미지를 재구성했다. 이것을 실제 백금 나노입자 구조와 비교해보니 오차는 19pm(피코미터·1pm는 1조분의 1m)에 불과했다. 백금의 격자 상수(결정 구조에서 원자 간의 간격)가 수백 ... ...
- [진로체험] 잘나가는 엔지니어에서 법의 수호자로! 박의준 보리움법률사무소 변호사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용어와 사용 방법 등 소프트웨어를 쓸 때 모르는 부분이 하나도 없도록 했어요. 정보를 입력할 때 반드시 참고해야 할 사항이나 전달할 메시지를 자동으로 뜨게 하고, 법률 용어가 나오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옆에 설명을 적어뒀죠. 실제로 소프트웨어에 있는 모든 설명은 백 번 이상씩 고쳐 ... ...
- [한페이지 뉴스]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설명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하야시 마사미치 일본 국립정보 및 통신기술연구소 정보신경망센터(CiNet) 연구원팀은 오른손잡이인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시간 왜곡을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피험자들에게 정중앙에 회색 원이 30번 깜빡이는 화면을 지켜보게 했다. 단,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