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유지하라!포메이션을 갖췄으면 선수들은 자신이 맡은 구역을 잘 사수해야 해. 자칫 자기 구역에서 너무 멀리 떨어지면 포메이션이 꼬이면서 패스 경로가 달라질 수 있으니까. 그렇다면 각 선수들의 체력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구역을 나누는 방법은 뭘까? 바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는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이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도 담당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논문을 쓴다. 연구를 하면서 자기주도적 탐구능력을 키우는 게 목적이다. 1년 동안 주제 하나를 정해 연구주제발표 세미나를 2~3번 하고, 사사논문 발표회를 2번 연다. 분야와 주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정한다. 그래서 ‘QR코드의 무늬를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것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청년실업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십시일반 조금 더 자기 몫을 덜어내는 게 어떠냐고 설득하면, 국민의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홍춘욱_hong8706@naver.com1993년 12월부터 이코노미스트로 일하고 있으며, ‘환율의 미래’ ‘인구와 투자의 미래’ 등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원하는 것만 선별해 수집하고 분석까지 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 이 모든 과정을 담은 자기소개서 덕분에 좋은 평가도 받게 된 것 같아요.” 내신 관리는 기본, 수학은 글 쓰듯 논리로 공부R&E 활동에 충실하면서도 이 씨는 내신 성적이 떨어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했다. 내신 성적이 평가의 가장 ...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나무에 부리를 부딪칠 때 머리가 아프진 않을까? 직접 찾아가서 물어봐야겠어! 일리: 자기소개를 부탁해! 딱따구리: 안녕하세요. 나무줄기에 수직으로 붙어서 먹이를 구하거나, 구멍을 내서 보금자리를 만드는 딱따구리예요. 몸길이는 8~45cm 정도로 종마다 다양하며 60cm에 가까운 대형종도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무작위로 그린 선 중에서 자기 자신과 만나지 않는 선만 주목해 살펴봤습니다. 이를 ‘자기회피산책로(SAW)’라 하는데, n이 커질때 원점에서 출발한 이러한 선의 개수가 어떤 속도로 늘어나는지 알아본 겁니다. 그 결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기존의 추측을 해결했지요. 듀밀-코핀 교수가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상수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키블 저울은 저울 한쪽에 인공물을 달고 다른 한쪽에 자기장 환경에서 코일에 전류를 흘린 뒤, 인공물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일률과 전기적인 일률을 비교해 플랑크 상수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캐나다와 미국은 2015년과 2017년 각각 키블 저울을 이용해 플랑크 상수를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아 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춰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지식정보처리 역량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또 탐구토론대회에 참여하는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런 물리량을 벡터라고 한다. 벡터에는 위치, 변위, 속도, 가속도, 힘, 전기장, 자기장 등이 있다. 속도는 벡터로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가지는 물리량이다. 이때, 속도의 크기를 속력이라고한다. 속력이 클수록 운동량이 커지는데, 이는 속도가 커지면 운동량이 증가한다는 ...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ASMR을 볼 때 뇌에서 DMN(Default Mode Network·내정상태회로) 부위의 활성도 차이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분석했다. DMN은 멍하게 있을 때에도 활동하는 뇌 부위로 피로를 느끼는 것과 관련이 깊다. 분석 결과, ASMR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DMN의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고, 전두엽과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