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암을 치료하려면? 오전보다는 오후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여기 암을 이겨낸 분이 계시다고 해서 그 비결을 들으러 왔어. 마침 이분은 항암 치료 연구에도 참여하셨다고 해. 과연 어떤 연구에 참여하셨는지, 비결은 무엇인지 일리가 여쭤보고 올게! 암을 이겨내셨다고 들었어요. 안녕하세요. 저는 ‘광범위 B형 대세포 림프종’이라는 혈액암을 앓았던 ... ...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지금 2억 마리로 불어난 호주 토끼의 조상이 1859년에 영국에서 들어온 24마리의 굴토끼라는 연구가 발표됐어. 150여 년 전만 해도 호주에는 원래 토끼가 살지 않았는데, 대체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외래종을 유입할 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사실! 생물보안에 대해 알아봤어. 거대한 눈덩이가 ... ...
- [광고] 2050 탄소제로시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후변화,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요즘 하루가 멀다고 듣는 말이죠? 그래서 오히려 위기가 느껴지지 않는 말이기도 합니다. 곧 다가올 미래지만, 해결법을 찾지 못해 애써 외면하고 있는 불편한 현실! 이런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2050 탄소제로시티’가 국립부산과학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 세상에서 친구 사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우주와 지구의 평화를 지키는 ZEM FIVE의 리더 정백이는 즐겨 방문하는 온라인 모험가 카페에서 평소 좋아하던 인디아나 독스를 만났어. 짱팬 정백이는 인디아나와 친해지고 싶은데, 일리가 보기엔 둘의 대화에 이상한 점이 있다지 뭐야? 친구는 소중한 존재예요. 놀 때, 공부할 때, 취미생활할 때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살지 말라고 말하고 싶다. 어떤 일을 할 때 돈, 명예부터 생각하는 마음을 가지면 그 일의 아름다움이 눈에 잘 안 들어온다. 나도 가정형편이 안 좋았음에도 공부가 좋아서 그냥 계속했다. 필즈상 수상(상금은 약 1500만 원)과 100억 원을 고르라고 한다면, 난 주저 없이 필즈상 수상을 고른다 ... ...
- 수학 상위 1%의 가방 속 잇템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학 상위 1%의 가방 속 잇템 KAIST 도서관 물병끊임없이 물을 마셔 물통은 필수다. 커피향이 나고, 언제든지 물을 마실 수 있고, 환기가 잘 되는 공간에서 가장 공부가 잘되는 편. 라미 사파리 만년필중세의 기사가 자신만의 검을 갖고 다니듯, 공부하는 사람은 자신만의 필기도구가 있어야 ... ...
- [전지적 독자 시점] 전지적 독자위원회 2기를 모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과학동아를 혁신시킬 전지적 독자위원회(전독위) 2기를 모집합니다. 전독위는 과학동아 표지 선정에 관여하고 기사를 평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2월 19일(일)까지 모집하며 6개월 동안 100% 온라인으로 활동합니다. 전독위 위원들에게는 여러 독자 서비스와 선물이 제공됩니다. 전독위 선정 여부는 2월 ...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바이러스만 먹어도 살 수 있는 생물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논외로 취급됐던 바이러스가 먹이사슬의 중요한 일원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 네브래스카-링컨대 생물과학부 연구팀은 담수에 사는 섬모충 플랑크톤인 할테리아(Halteria)가 바이러스만 섭취해도 성장과 번식이 가 ... ...
- [특집] 논란의 그를 직접 만나봤습니다, 챗GPT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제 이름은 챗GPT, OpenAI의 언어 모델입니다. 저는 정보, 언어 번역, 글쓰기 등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저는 항상 배우며 지식을 업데이트합니다. 저는 기계이며 개인적인 감정이나 생각은 없습니다. 저의 목표는 당신을 돕는 것입니다. 연중무휴로 이용 가능합니다.미국의 인공지능 연구소 OpenAI가 2 ... ...
- [뉴스&인터뷰]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더라도 우리가 소설을 쓸 이유는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인간의 두뇌를 본떠 태어났다. 인간이 만들어낸 데이터를 배우며 자랐다. 그래서 인공지능(AI)은 인간의 모습을 투영하는 거울이며, 이 거울의 이야기는 결국 우리 인간의 이야기다. AI를 소재로 한 SF 소설을 읽으면 작가가 인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는 이유다. 과학동아 2023년 2월호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