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생각"(으)로 총 4,5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물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과동이쌤! 우리 과학실험해요. 해부실험해요. 쥐, 아니면 토끼 같은 걸로요. 예전부터 꼭 해보고 싶었어요. 중학교 때 개구리 실험을 했는데 엄청 재밌었어요. 애들이 살아있는 개구리를 보고 무섭다고 소리 지르고 난리였죠. 용감한 제가 개구리를 마취시키고 배를 갈랐어요. 쌤, 저 대단하죠?정훈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백두산은 해발고도 2750m로 한반도에서 가장 높다. 백두산 윗부분은 구름이 쌓여있고 칼데라 호인 천지는 괴물이 산다고 알려졌을 만큼 신비롭다. 백두산은 예로부터 하늘과 통하는 문으로 여겨지면서 신성시됐다.일본 도쿄 근처 후지산도 마찬가지. 해발 37 ... ...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 21500여 명의 인텔 ISEF2013 최종 참가자들은 세계 약 70여 개 나라에서 수백 개의 관련 대회를 통해 선발된다. 이번 대회에 참가한 한국 대표팀은 12개 팀, 27명이었다. 매년 각국 대표를 선발하기 위한 과학경진대회에 참가하는 청소년의 수는 700만 명에 달한다.사소한 호기심이 그녀들을 비행기에 ... ...
- PART 1. 5색 아빠,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자녀를 좋은 대학에 보내려면 필요한 세 가지는 무엇일까?엄마의 정보력, 할아버지의 경제력, 그리고 으잉? 아빠의 무관심이라굽쇼?!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지금은 친구 같은 아빠 ‘프렌디(Friendy: Friend+Daddy)’의 시대.아빠의 사랑이 아이를 얼마나 변하게 하는지 유행하는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 ...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벨기에 플랑드르의 작은 마을에서 네로와 파트라슈는 우유 배달을 하며 어렵게 살고 있었어요.“파트라슈, 배가 많이 고프구나! 새 우유를 줄게. 다 먹은 우유병은 그만 핥아.”파트라슈가 우유병을 핥을 때마다 우유병에 얼룩이 생겼다가 지워지기를 반복했어요. 이걸 본 네로는 번뜩이는 아이디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결혼하고는 한 번도 동굴을 떠난 적이 없는데, 여길 떠나야 한다니…. 발길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군. 가족들이 많이 걱정 할 테니, 이왕 이렇게 된 거 소풍이나 가자고 말해야겠다!그루그, 그루그! 저도 데려가 주세요. 저도 소풍 가고 싶어요!너처럼 비쩍 마른 약골은 우리 가족에게 전혀 도움이 되 ...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화려한 색채로 두 남녀의 입맞춤을 표현한 구스타프 클림프의 ‘키스’를 연상케 하는 미술작품이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은 놀랍게도 인공지능 시스템을 이용해 컴퓨터가 스스로 그린 그림이다. 더 놀라운 것은 자동차나 비행기 설계에 이용하는 수학 원리를 적용한 결과라는 것이다.이것이 어떻게 ... ...
- 우리 학교는 영재가 가장 행복한 곳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영어로 Gifted, 즉 타고난 재능을 선물 받은 아이들입니다. 영재교육은 그들의 재능을 키워주는 것이죠. 영국 프리미어리그의 축구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는 뛰어난 유소년 육성 시스템이 있어요. 피파랭킹 60위, 80위 하는 나라의 축구 영재를 데려와서 세계적인 수준의 체력과 개인기, 전술 훈련을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지금 당장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 검색창에 ‘타지 마할(Taj mahal)’을 입력해 보자. 가장 먼저 보이는 결과는 인도의 아름다운 사원 타지 마할이다.그런데 검색한 사람의 의도가 타지 마할이 아니라면? 실제로 그래미상을 받은 뮤지션, 근처 인도 음식점, 호주에서 만든 독립 영화 이름도 타지 마할이 ... ...
- 꽃 호르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식물도 계절을 구분할까. 식물 역시 24시간을 주기로 돌아가는 생물시계를 갖는다. 생물시계를 통해 기온과 낮의 길이의 변화(광주기)를 판단하면서 계절 변화를 알아차린다.꽃 피는 시기도 바로 광주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 사실을 발견한 사람은 미국 농무성 연구소에서 일했던 해리 가너와 와이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