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의 새로운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소수의 각 자릿수를 더하면 홀수가 많을까요? 짝수가 많을까요? 홀수와 짝수가 같은 비율로 나올 거라는 가설이 있었지만 40년 넘게 증명되지 않다가, 최근 프랑 ...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 결과는 수열의 규칙성을 밝히거나 디지털 방식으로 재해석해서 암호 분야 등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 ...
- 수학 비중은 더 커지고, 자기주도학습 대비해야…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비중은 날로 커지는데 어떻게 수학 공부를 하면 좋을까?기본 원리와 개념을 충분히 익혀 응용력 키워야수학에서 기본 원리와 개념이 중요하다는 말은 많이 들어서 식상할 정도다. 그러나 개념이나 원리를 무시한 채 문제 유형을 외우거나, 공식을 외워서는 새로운 문제 유형을 풀 수 없으며, ... ...
- 작전명령 ③ 최선의 방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남긴 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이야. 참혹한 전쟁이었지만 이 전쟁을 치르면서 새로운 응용수학이 많이 발전했어. 현대 전쟁에서는 과거와 달리 엄청난 두뇌 싸움이 필요해지면서 수학이 전쟁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한 셈이지. 특히 최소의 피해로 최대의 성과를 얻는 작전을 짜는 문제, 많은 군사 ... ...
- 방정식은 어디에나 있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풀어 정답을 구해야 하는 문제는 별로 없지만, 각종 통계 자료의 수치에 방정식을 응용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 교과서에 나온 인구 통계를 보고 통계에 나타나지 않은 정보를 알아보자. 인구 밀도란 1㎢에 살고 있는 사람의 수를 나타낸 것이므로, 인구밀도 = $\frac{인구 ...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세운 뒤, 초고출력에서부터 저출력까지 다양한 출력의 레이저광을 생산하며 응용 연구를 병행하고 있는 이곳은 국내 레이저 연구의 메카나 다름없다. 오랜만에 APRI의 이종민 소장을 만났는데, 어째서인지 이 소장이 싱글벙글 웃는다.“2012년까지 두 개의 빔라인에서 각각 500TW(테라와트, 1TW=1012W)씩 ...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장기간 가동하며 기상관측센서에 전력 공급할 수도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한 다른 응용분야로 오염저니(底泥, 퇴적물)에서 전기를 획득하고자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퇴적물형 미생물연료전지라고 부른다. 유기물에 오염된 수계(하천이나 저수지)에 분포하는 퇴적물에 ...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어떤 방식으로 대화를 이끌어나가야 할지 제시하고, 어떻게 글을 써야 할지 기초부터 응용까지 차근차근 짚었다. 실험 보고서와 연구 계획서, 논문, 프레젠테이션 등 각 분야마다 글을 잘 쓸 수 있는 팁을 알려준다.큐브제리 슬로컴 지음 | 김경호 옮김 | 보누스 | 144쪽 | 1만 2000원1974년 발명된 이래 1 ...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통한 근적외선 레이저 통신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요즘은 어떨까. 레이저를 제품에 응용하려는 개발자들의 손은 21세기에도 느려지지 않았다. 아니 전보다 더 생활에 밀접하고 유머러스한 방식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느낌이다. 상황극에 등장한 ‘레이저로 문신한 과일’은 실제 미국 대형 마트에서 ... ...
- 최고 과학기술훈장에 류근철, 손연수, 이호인, 고(故) 조경철 씨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건 등 75건의 발명특허를 등록하거나 출원했다. 이호인 교수는 30년 동안 공업촉매 분야에 응용화학을 접목해 융·복합 학문을 발전시켰으며 147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고 조경철 박사는 정부 해외유치 과학자 제1호로 한국천문학회 및 한국우주과학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초창기 한국의 천문학과 ...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의학자 그룹과 협력하고 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김정한 소장은 “뇌과학계에서 응용수학을 폭넓게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학회 마지막 날 비공개로 열린 토론에서 양 진영의 불꽃 튀는 의견이 오갔다는 후문이다. 앞으로 두 진영이 커넥톰 연구에 어떤 성과를 낼지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